무릎에서 "두둑"…무리한 다이어트 ‘반월상연골판’ 손상 불러
강인귀 기자
3,663
2015.06.04 | 08:48:37
공유하기
직장여성 A씨(28세)는 다가오는 여름을 위해 다이어트에 돌입했다.
예전부터 꾸준히 해온 유산소 운동이었지만 여름을 앞두고 피트니스센터와 동네서 러닝을 조금더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예전에도 조금씩 통증이 있었던 무릎에서 구부리거나 똑바로 걸을 때 ‘두둑’ 소리도 나기 시작했다.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다보니 무릎에 부담이 생겼을거라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무릎의 통증이 생기면서 붓고 다리가 저리는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았고 ‘반월상연골판 손상’이란 진단을 받았다.
‘반월상연골판 손상’이란 외부에서 무릎 관절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하고 있는 반달 모양의 섬유성 연골이 손상되는 것을 말하는데, 원인은 과격한 운동으로 인한 부상과 나이로 인한 퇴행성 변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이에 최근 여름이 오면서 무리한 운동이나 다이어트, 등산이나 자전거 등 레저 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데, 반면 퇴행성 변화로 인한 파열은 특별한 외상없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데 한번 손상된 연골은 자연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치료를 통해 상태가 더욱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파열된 부위가 작고 생활함에 있어 통증으로 인해 큰 불편함이 없는 경우라면 물리치료를 통해 충분히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통증이 심하고 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라는 수술적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정형외과전문의 라기항 원장은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초반에 근육통과 혼동되기 쉽고, 통증 지속기간도 짧아 치료시기를 놓치는 환자들이 많다”며 “운동이나 레저 활동 후 휴식시간을 가졌음에도 무릎 관절 부위에서 소리가 나거나 욱신거리는 통증이 느껴지고 붓는다면 반월상연골판 손상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전부터 꾸준히 해온 유산소 운동이었지만 여름을 앞두고 피트니스센터와 동네서 러닝을 조금더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예전에도 조금씩 통증이 있었던 무릎에서 구부리거나 똑바로 걸을 때 ‘두둑’ 소리도 나기 시작했다.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다보니 무릎에 부담이 생겼을거라 생각해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무릎의 통증이 생기면서 붓고 다리가 저리는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았고 ‘반월상연골판 손상’이란 진단을 받았다.
‘반월상연골판 손상’이란 외부에서 무릎 관절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역할을 하고 있는 반달 모양의 섬유성 연골이 손상되는 것을 말하는데, 원인은 과격한 운동으로 인한 부상과 나이로 인한 퇴행성 변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이에 최근 여름이 오면서 무리한 운동이나 다이어트, 등산이나 자전거 등 레저 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데, 반면 퇴행성 변화로 인한 파열은 특별한 외상없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데 한번 손상된 연골은 자연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치료를 통해 상태가 더욱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파열된 부위가 작고 생활함에 있어 통증으로 인해 큰 불편함이 없는 경우라면 물리치료를 통해 충분히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통증이 심하고 생활에 지장이 있는 경우라는 수술적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