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으로 비가 내리는 장마철이 기다려졌지만, 관절염 환자들은 장마철이 반갑지만은 않다.

그 이유는 장마철에 유독 관절 통증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호주의 한 대학 연구에서는 관절염 환자의 92%가 습도 때문에 증상이 악화되고 있으며, 고온다습한 장마철 날씨의 경우 관절염 환자의 통증이 30%쯤 증가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장마철 관절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는 높은 습도 때문.

비가 오지 않는 평소 날씨에는 대기압과 관절 내의 압력이 조화를 이뤄 평형을 유지한다. 하지만 비가 오는 습한 날씨에는 기압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관절 내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관절 내 조직이 팽창해 염증 물질이 많이 생성되고 신경을 자극해 통증이 더 심해지며,  관절염을 가진 환자들의 증상이 더 악화되기도 한다.

관절염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연골이 닳거나 비만 및 과도한 운동 등으로 관절에 무리가 와서 생기는 질환이다. 주된 증상으로는 관절이 뻣뻣해 지거나 붓고, 걷거나 앉고 일어설 때 통증이 유발된다.

관절염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퇴행성 관절염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가 원인으로 관절 연골이 닳아 소실되면서 통증이 발생한다.

관절 연골이 닳게 되면 움직일 때마다 통증과 함께 마찰음이 생긴다. 관절 부위를 움직이기 힘들게 되고 관절이 붓게 되며 심해지면 관절 변형과 함께 관절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통증이 발생한다.

이때 관절 부위를 따뜻하게 찜질 하면 통증이 어느 정도 가라앉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래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으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이와 관련해 참튼튼병원 의정부지점 한희돈원장은 “평소에 비해 장마철이 되면 통증을 호소하는 관절염 환자들이 많아진다”라며 “장마철 관절염 통증예방을 하기 위해 실내 습도를 45~60%사이로 맞춰주고, 외출할 때 2-3시간 정도 난방을 하거나 습기를 조절해주는 숯을 집안 곳곳에 놓아두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