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 사진' '명왕성' /사진=뉴시스(AP제공)
'명왕성 사진' '명왕성' /사진=뉴시스(AP제공)

'명왕성 사진' '명왕성 탐사선' 

명왕성 탐사선 뉴호라이즌스가 명왕성을 근접해 촬영한 사진을 속속 보내와 베일에 싸인 명왕성에 대한 비밀이 하나씩 풀리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미국 메릴랜드 주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과연구소(APL)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명왕성 표면을 촬영한 고해상도 사진을 공개했다.


NASA는 명왕성 표면사진을 분석한 결과 높이 3000m의 얼음산은 형성된지 1억년이 채 안 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 명왕성 표면에서 충돌 크레이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지구 등 태양계의 다른 천체들에 비해 명왕성 표면이 매우 젊다는 것을 의미한다.

태양계는 형성된지 최소 40억년 이상 됐지만 명왕성의 지형은 형성된지 1억년 미만으로 보인다는 게 NASA의 설명이다.

또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명왕성의 위성 카론에는 절벽, 협곡 등 활발한 지질활동을 암시하는 지형이 발견됐다.

한편 뉴호라이즌스는 초당 약 2000 비트 수준의 속도로 57억km 떨어진 지구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이는 상용화된 LTE 무선통신의 전송 속도(200 Mbps)보다 10만배 느린 속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