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킹의혹 해명, 국민 58% "신뢰하지 않는다"… 대구·경북도 53%가 불신
오문영 기자
2,040
공유하기
![]() |
'국정원 해킹의혹' /자료=리얼미터 |
'국정원 해킹의혹'
국민 10명 중 6명은 국가정보원장의 "국민을 대상으로 해킹을 한 적은 없다"는 해명을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는 국가정보원장의 해킹 의혹 해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 지에 대해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전체의 58.2%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고 17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신뢰한다'는 응답은 31.4%였다. ‘잘 모름’은 10.4%.
거의 모든 지역과 계층에서 국가정보원장의 해명을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역별로는 서울(신뢰 21.7% vs 불신 68.0%)에서 불신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대전·충청·세종(28.8% vs 66.8%), 광주·전라(21.5% vs 64.8%), 대구·경북(35.0% vs 53.1%), 경기·인천(34.5% vs 52.9%) 순으로 불신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부산·경남·울산(신뢰 47.4% vs 불신 45.9%)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과 불신한다는 응답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 이하에서는 국정원장의 해명을 불신한다는 응답이 대다수를 차지했고 60대 이상(신뢰 47.4% vs 불신 35.5%)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우세했는데, 30대(16.7% vs 77.1%)에서 불신 응답이 압도적인 다수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20.6% vs 69.4%), 40대(24.2% vs 62.3%) 순으로 불신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50대(신뢰 46.5% vs 불신 49.1%)에서는 불신한다는 응답과 신뢰한다는 응답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지정당별로는 국정원장의 해명에 대한 인식이 여야 지지층 간에 극명하게 엇갈렸는데, 새누리당 지지층(신뢰 67.1% vs 불신 21.5%)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불신한다는 응답의 3배를 넘은 반면, 새정치연합 지지층(3.9% vs 93.3%)에서는 절대 다수가 불신한다고 응답했다.
여야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신뢰 11.8% vs 불신 72.7%)에서도 새정치연합 지지층에서와 같이 불신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마지막으로 정치성향별로 보면, 보수층(신뢰 60.0% vs 불신 32.4%)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불신한다는 응답의 2배에 달한 반면, 진보층(9.6% vs 85.4%)에서는 압도적인 다수가 불신한다고 응답했다. 중도층(신뢰 26.2% vs 불신 67.6%)에서도 불신한다는 응답이 대다수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7월 15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고,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해 통계 보정했다. 응답률은 6.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