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인 박테리아, 日 사망자 71명… 예방법 없나(?)
차완용 기자
3,158
공유하기
일본에서 식인 박테리아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렇다 할 식인 박테리아의 감염경로나 예방법이 발견되지 않아 일본 국민들의 공포가 심각한 상태다.
일본 국립감염증 연구소 통계에 따르면 식인박테리아 감염자가 지난달 23일 291명에 달하는 등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연 273명 기록을 훌쩍 뛰어넘는다. 일본에서 조사를 처음 조사를 시작한 1999년 이후 사상 최대다. 사망자는 올해 6월까지 71명에 달한다.
‘식인 박테리아’라는 별칭을 가진 이 박테리아는 ‘급성 전격성형 용혈성연쇄구균 감염증’이라는 치명적인 세균으로, 근육에 붙어 기생하며 심하면 목숨까지 빼앗는다.
이 세균은 식중독균인 장염 비브리오와 동류인 ‘비브리오 브루니피카스’로 어패류 등을 날 것으로 먹으면 감염되며, 특히 간경변 등 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식인 박테리아는 1987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됐으며 주로 노인에게 많이 나타나 혈압 저하 등의 쇼크 증세와 함께 팔다리에 통증이나 부기가 찾아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국립감염증 연구소 통계에 따르면 식인박테리아 감염자가 지난달 23일 291명에 달하는 등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연 273명 기록을 훌쩍 뛰어넘는다. 일본에서 조사를 처음 조사를 시작한 1999년 이후 사상 최대다. 사망자는 올해 6월까지 71명에 달한다.
‘식인 박테리아’라는 별칭을 가진 이 박테리아는 ‘급성 전격성형 용혈성연쇄구균 감염증’이라는 치명적인 세균으로, 근육에 붙어 기생하며 심하면 목숨까지 빼앗는다.
이 세균은 식중독균인 장염 비브리오와 동류인 ‘비브리오 브루니피카스’로 어패류 등을 날 것으로 먹으면 감염되며, 특히 간경변 등 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식인 박테리아는 1987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됐으며 주로 노인에게 많이 나타나 혈압 저하 등의 쇼크 증세와 함께 팔다리에 통증이나 부기가 찾아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