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1.5% 동결 …"국내경제 불확실성 증대"
배현정 기자
2,344
공유하기
한국은행이 11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50%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미국과 유로지역의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국내경제는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11일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1.50%로 유지하면서 밝힌 ‘통화정책방향’을 보면 미국에서는 회복세가 지속되고 유로지역의 개선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 등 신흥시장국의 성장세는 계속 둔화됐으며 앞으로 세계경제는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완만하나마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경제는 소비, 투자 등 내수가 회복 움직임을 이어갔으나 경제주체들의 심리 개선이 미흡한 가운데 수출이 감소세를 지속했다.
고용면에서는 취업자수 증가세가 기저효과 등으로 둔화되면서 고용률이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하락하고 실업률은 상승했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나 대외 경제여건 등에 비추어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증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금통위 관계자는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안정기조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가계부채의 증가세, 미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및 중국을 비롯한 신흥시장국의 금융불안 등 해외 위험요인, 자본유출입 동향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뉴스1= 신웅수 기자 |
11일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1.50%로 유지하면서 밝힌 ‘통화정책방향’을 보면 미국에서는 회복세가 지속되고 유로지역의 개선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중국 등 신흥시장국의 성장세는 계속 둔화됐으며 앞으로 세계경제는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완만하나마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경제는 소비, 투자 등 내수가 회복 움직임을 이어갔으나 경제주체들의 심리 개선이 미흡한 가운데 수출이 감소세를 지속했다.
고용면에서는 취업자수 증가세가 기저효과 등으로 둔화되면서 고용률이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하락하고 실업률은 상승했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나 대외 경제여건 등에 비추어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증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금통위 관계자는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안정기조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가계부채의 증가세, 미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 및 중국을 비롯한 신흥시장국의 금융불안 등 해외 위험요인, 자본유출입 동향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