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신청 대학생 70% 소득분위 변화… "원래 취지 어긋나"
오문영 기자
4,861
공유하기
'한국장학재단'
올해부터 국가장학금 지급액수를 결정하는 소득분위 산정방식이 변경되면서,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학생 70%의 소득분위가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유기홍 의원이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1학기와 2015년 1학기 모두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70만명의 대학생 중, 69%인 48만명의 소득분위가 오르거나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1학기보다 낮은 분위로 이동한 학생은 전체의 30%였고, 높은 분위로 이동한 학생은 39%였다. 특히, 소득분위가 세 등급 이상 또는 이하로 크게 변동을 겪은 학생의 수는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전체 학생의 26%(17만5000여명)에 달했다.
유 의원은 "문제는 매 학기마다 전체 장학금 신청자의 소득수준을 순위 매겨 순위대로 장학재단이 설정한 소득분위에 할당하는 방식에 있다"며 "이 방식대로라면 매 학기의 전체 장학금의 신청자 경제적수준이 변화함에 따라 개별 학생들의 소득분위가 고무줄처럼 올라가고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매 학기마다 학생들의 소득분위가 오르락내리락 해 학생들이 자신이 받을 장학금 액수를 예측할 수 없게 됐고, 경제적 수준에 따라 국가장학금을 지급하겠다는 원래의 취지에도 맞지 않게 됐다"며 "학생들의 경제적 수준을 상대적 기준이 아닌 절대적 기준으로 구분해 국가장학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부터 국가장학금 지급액수를 결정하는 소득분위 산정방식이 변경되면서,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학생 70%의 소득분위가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유기홍 의원이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1학기와 2015년 1학기 모두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70만명의 대학생 중, 69%인 48만명의 소득분위가 오르거나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1학기보다 낮은 분위로 이동한 학생은 전체의 30%였고, 높은 분위로 이동한 학생은 39%였다. 특히, 소득분위가 세 등급 이상 또는 이하로 크게 변동을 겪은 학생의 수는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전체 학생의 26%(17만5000여명)에 달했다.
유 의원은 "문제는 매 학기마다 전체 장학금 신청자의 소득수준을 순위 매겨 순위대로 장학재단이 설정한 소득분위에 할당하는 방식에 있다"며 "이 방식대로라면 매 학기의 전체 장학금의 신청자 경제적수준이 변화함에 따라 개별 학생들의 소득분위가 고무줄처럼 올라가고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매 학기마다 학생들의 소득분위가 오르락내리락 해 학생들이 자신이 받을 장학금 액수를 예측할 수 없게 됐고, 경제적 수준에 따라 국가장학금을 지급하겠다는 원래의 취지에도 맞지 않게 됐다"며 "학생들의 경제적 수준을 상대적 기준이 아닌 절대적 기준으로 구분해 국가장학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 |
'한국장학재단'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