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서울(www.kidzania.co.kr)이 지난 달 25일부터 29일까지, 9세~13세 어린이 31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명을 제외한 설문 참여자 전원이 줄임말 또는 합성어, 은어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들 평균 2.2개 신조어 사용…“핵노잼>생선>노답” 순으로 많이 나타나
▲초등학생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조어, 줄임말 순위
▲초등학생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조어, 줄임말 순위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신조어로는 ‘핵노잼(72명 선택)’이 꼽혔다. 이 외에도 ‘생선’, ‘노답’, ‘이응(ㅇ,ㅇㅇ)’, ‘멘붕’, ‘레알’, ‘생파’, ‘개이득’ 등이 많은 표를 받았고, 이를 통해 어린이들이 평균 2.2개 이상의 신조어 또는 줄임말, 은어를 사용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에 참여한 어린이 47%는 이러한 말들을 주로 학교 또는 학원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며 배웠다고 답했다. 또한 30%는 카카오톡 등 모바일 SNS를 즐기는 과정에서, 15%는 부모님 또는 형제, 자매의 언어 습관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특히 부모와 형제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48명 중 40명이 9~10세의 저학년으로 나타나, 어릴수록 가정 내 올바른 언어 습관을 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학부모들은 잘 모르는 요즘 10대들의 신조어, 줄임말 순위
▲학부모들은 잘 모르는 요즘 10대들의 신조어, 줄임말 순위

그렇다면, 학부모들은 초등생 자녀들의 이러한 신조어, 줄임말 사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키자니아 서울이 같은 기간 동안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111명에게 조사한 바에 따르면 ▲63%는 소통의 단절과 세대 차이를 느끼고 ▲21%는 심각한 우리말 훼손 현상을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자녀의 부적절한 언어 사용 시, 어떠한 반응을 보이겠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가장 많은 학부모들이 ‘강경한 태도로 혼을 내거나 훈육하겠다(33%)고 답해, 어린 자녀들의 올바르지 못한 언어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걱정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에 참여한 부모 대다수는 자녀의 올바른 언어 습관을 위해 가정 내에서 다양한 교육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 중에서도 ‘아이와 눈높이를 맞추고 대화 나누기(44%)’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했으며 ▲책 읽기, 글쓰기, 국어사전 보기 등과 같은 직접적인 국어교육 참여(23%) ▲집에서 가급적 바른 언어 사용을 실천하는 등 부모부터 좋은 본보기를 보여주려고 노력함(19%)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아이들이 재미있고 즐거운 환경에서 우리말을 익힐 수 있도록 돕는 체험 프로그램에 참가한다’라는 의견과 이러한 체험 활동이 점점 많아지길 희망하는 바램 등도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키자니아 서울은 어린이들에게 아름다운 한글의 중요성과 올바른 사용법을 알리기 위해 ‘고운말 능력 시험’이라는 이색 체험 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시험은 문제 난이도에 따라 3급부터 1급까지 나뉘어져 있으며, 각 급수 별 문항은 총 10개로 구성된다. 주로 은어, 줄임말, 비속어, 잘못 사용 중인 외래어 등을 표준어로 번역하거나 올바른 맞춤법과 발음 표기법을 찾는 것 등이 문제로 제출되며 총 5개 이상을 맞춰야 합격 도장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