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2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처음으로 양자 회담을 갖는다. 양국 정상은 국제 회의 참석을 계기로 여러 차례 만났으나 따로 정상회담을 가진 적은 없다.


한·일 정상회담은 지난 2012년 5월 이명박 전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 당시 일본 총리의 회담 이후 중단된 상태다. 과거사 문제 해결 없이 정상회담은 없다는 우리 정부의 강경한 태도와 역사 수정주의 경향을 강하게 보이는 아베 정권의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면서 정상회담 개최는 요원하게 보였다.

그러나 한·중·일 정상회담이 3년 반만에 재개되면서 한·일 정상 간의 만남도 극적으로 성사됐다. 막판까지 일정 조율 등으로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확언하지 않았던 양국 정부는 지난달 28일에 공식적으로 정상회담 개최를 확정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을지에도 국내·외의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양국 관계 개선의 선결 요건으로 꼽히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한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앞서 개최된 한·중·일 정상회담 결과 채택된 공동선언문에서도 역사 관련 언급은 거의 없어 양자 현안에 대해서는 따로 논의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과거사 문제에 대한 양국간 입장 차이가 워낙 뚜렷해 향후 해결을 위한 협력 방침을 확인하는 수준 이상의 진전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지난 1일 오전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만나 약 50분에 걸쳐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하는 과정에서도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다는 점도 이를 방증한다.

한·일 모두 저성장에 따른 경제 침체를 겪고 있는 만큼 경제 분야에서의 상호 협력 방안을 도출해 낼 지도 이번 정상회담의 관심사다.


지난 1일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춘추관에서 한·중·일 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스1(청와대 제공)
지난 1일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춘추관에서 한·중·일 정상회담 공동기자회견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스1(청와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