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사진=머니투데이 DB
뉴욕증시. /사진=머니투데이 DB
뉴욕증시가 경기지표 부진에도 불구하고 국제 유가 급등에 따른 에너지 업종 강세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10월 자동차 판매가 호조를 보인 것도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줄여주며 호재로 작용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는 전날보다 5.74포인트(0.27%) 오른 2109.79를 기록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 지수는 89.39포인트(0.5%) 상승한 1만7918.15로 마감했다. 나스닥종합 지수는 17.98포인트(0.35%) 오른 5145.13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는 전날 급등에 따른 경계감으로 하락 출발했다. 하지만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에너지 관련 기업의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며 상승 반전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에너지 업종 지수는 2.56% 급등했다.

이날 발표된 제조업 수주는 2개월 연속 감소했지만 최악의 국면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낙관적인 전망을 낳았다.


이날 미국 상무부는 9월의 제조업 수주 실적이 전월 대비 1.0%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0.9% 감소) 보다 더 나쁜 성적표다. 그러나 직전월(8월) 수정치인 2.1% 감소보다는 개선된 것이다. 달러 강세와 해외 수요 부진, 유가 하락에 따른 에너지 부문의 지출 감소 때문으로 풀이된다.

8월 제조업 수주는 당초 1.7% 감소에서 2.1% 감소로 하향 조정됐다. 변동 폭이 심한 운송 부문을 제외할 경우 9월 제조업수주는 전월보다 개선된 0.6% 감소를 나타냈다. 지난 8월엔 1.1% 감소한 바 있다.


전날 발표된 미국의 10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50.1을 기록, 전망치를 소폭 웃돌았다.

자동차 판매가 호조를 보인 점도 증시 상승에 힘을 실어줬다. 최근 2개월 판매 증가폭은 15년 만에 최대치다.


이날 미국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10월 자동차 판매량은 141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 증가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특히 픽업트럽과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등 고가의 차량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일부 디젤 차량에 대한 배출가스 조작 파문에 휩싸인 폭스바겐(VW)을 제외하곤 모든 자동차 업체들의 10월 자동차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국제 금값은 연내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에 급락했다. 나흘 연속 떨어지며 약 20일 만에 최장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국제 금 가격은 전날보다 온스당 21.8달러(1.9%) 급락한 1114.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29일 2.5% 급락한 이후 최대 낙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