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여성재단, 특권층엔 특혜… 사회적 약자는 홀대 논란
광주=홍기철 기자
1,339
공유하기
![]() |
5일 광주광역시의회 문태환 부의장(광산2, 사진)에 따르면 광주여성재단은 여성CEO, 사회지도층, 기업인 등 특권층에만 무료로 프로그램을 운영한 반면 대학생, 사회단체 중간관리자 등에게는 참가비를 받고 있다.
여성 CEO아카데미에는 강사비를 제외한 대부분의 예산이 식대(1인당 3만원)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 참석자들은 현직 시장·교육감 부인을 포함한 지역의 특권층들로 구성됐다.
반면 1만원에서 2만5000원까지 참가비를 내는 차세대리더, 중간리더 양성교육 대학생, 중간관리자의 식대는 7000원에 머물러 형평성 문제가 제기됐다. 나머지 비용은 교재비, 차량임차료 등으로 사용됐다.
반면 1만원에서 2만5000원까지 참가비를 내는 차세대리더, 중간리더 양성교육 대학생, 중간관리자의 식대는 7000원에 머물러 형평성 문제가 제기됐다. 나머지 비용은 교재비, 차량임차료 등으로 사용됐다.
이와 함께 지난 2월 제25차 인사위원회에서 하위직 연봉조정안 인상폭을 확대 적용하는 '직급 및 등급별 1% 적용안'(1안)을 통과시켰다. 그런데 지난 6월 제26차 인사위원회에서 이를 번복하고 기본연봉조정안을 '등급별 3.8% 동일 인상안'(2안)을 통과시켰다. 인사위원회가 기본연봉조정안을 번복해 의결한 것은 재단 이사장 교체와 함께 간부급 상위직급 일부가 반발한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1안은 하위직급의 급여가 매우 열악한 점을 반영해서 전임 대표이사 재직시 제출되서 통과됐었다. 하지만 신임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 조직의 화합 차원에서 합의안을 새로 만들 것을 요구해 결국 인사위원회가 이를 번복한 것.
문태환 부의장은 "소수 간부들이 1~2%의 인상율에 목을 메고 반발하는 것은 조직을 이끌고 통합해 재단을 안정화 시켜야하는 리더의 모습은 아니다"며 "인사위원회의 결정사항을 재단이 스스로의 입장에 맞게 바꾸기 위해서 번복하는 방식으로 재단이 운영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문 부의장은 "특권층에 아부하는 이런 식의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기 그지 없다"며 "상대적 박탈감이 생기지 않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당초 1안은 하위직급의 급여가 매우 열악한 점을 반영해서 전임 대표이사 재직시 제출되서 통과됐었다. 하지만 신임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 조직의 화합 차원에서 합의안을 새로 만들 것을 요구해 결국 인사위원회가 이를 번복한 것.
문태환 부의장은 "소수 간부들이 1~2%의 인상율에 목을 메고 반발하는 것은 조직을 이끌고 통합해 재단을 안정화 시켜야하는 리더의 모습은 아니다"며 "인사위원회의 결정사항을 재단이 스스로의 입장에 맞게 바꾸기 위해서 번복하는 방식으로 재단이 운영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문 부의장은 "특권층에 아부하는 이런 식의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기 그지 없다"며 "상대적 박탈감이 생기지 않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홍기철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