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구석기 시대 유물 발굴 현장 공개… '8만년 역사'가 한눈에
김수정 기자
2,830
공유하기
'예천 구석기 시대 유물'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동국문화재연구원(원장 김호종)이 지난 6월부터 발굴 조사 중인 경북 '예천 삼강리 유적'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오늘(19일) 오후 2시에 개최했다.
예천 삼강리 유적은 낙동강을 가르는 내성천 인근의 하안단구(하천 흐름을 따라 생긴 계단 모양의 지형)에 자리하고 있다. 약 4~4.5m의 퇴적층에는 당시 생활면이 재퇴적되면서 여러 단위에 걸쳐 5개의 유물층이 이루어져 있다. 약 8만년 전 구석기 전기부터 약 4만년 전인 중기까지 구석기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층이 확인됐다. 시기적 변화상을 추적할 수 있는 다양한 유물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천 삼강리 유적에서 확인된 석기는 160여 점으로 석기 제작과 관련된 몸돌, 격지, 찍개, 여러면석기, 망치돌 등이 출토됐다. 1~3문화층에서는 주로 강돌을 가지고 만든 석기가 확인되었으며, 1~2문화층에서 출토된 석기 중에서는 긴 직사각형 석재를 얇은 너비의 조각으로 떼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구석기인들의 역동적인 석기제작법을 보여주는 유물도 나왔다.
하층에 속하는 4~5문화층에서는 안산암 등 화산암으로 만든 석기가 출토됐다. 안산암과 같은 화산암으로 만든 석기는 주로 전기와 중기 구석기 시대에 많이 발굴됐다. 이러한 석기 재료와 문화층의 차이로 볼 때, 예천 삼강리 유적의 시기는 전기 구석기 시대까지 올라갈 것으로 문화재청은 판단했다.
조사 지역과 인접한 곳에 있는 구석기 시대 유적으로는 상주 신상리 유적과 안동 마애리 유적이 있다. 출토된 유물 수량이 적고 유물 구성상을 복원하는 게 어려움이 있는데 반해, 예천 삼강리 유적은 경상북도 지역에서 확인된 유적 중 다양한 문화층과 유물 구성을 보여주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
동국문화재연구원은 예천 삼강리 유적이 경상북도 구석기 시대를 이해하는데 기준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전기 구석기 문화의 지역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하고 있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동국문화재연구원(원장 김호종)이 지난 6월부터 발굴 조사 중인 경북 '예천 삼강리 유적'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오늘(19일) 오후 2시에 개최했다.
예천 삼강리 유적은 낙동강을 가르는 내성천 인근의 하안단구(하천 흐름을 따라 생긴 계단 모양의 지형)에 자리하고 있다. 약 4~4.5m의 퇴적층에는 당시 생활면이 재퇴적되면서 여러 단위에 걸쳐 5개의 유물층이 이루어져 있다. 약 8만년 전 구석기 전기부터 약 4만년 전인 중기까지 구석기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층이 확인됐다. 시기적 변화상을 추적할 수 있는 다양한 유물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천 삼강리 유적에서 확인된 석기는 160여 점으로 석기 제작과 관련된 몸돌, 격지, 찍개, 여러면석기, 망치돌 등이 출토됐다. 1~3문화층에서는 주로 강돌을 가지고 만든 석기가 확인되었으며, 1~2문화층에서 출토된 석기 중에서는 긴 직사각형 석재를 얇은 너비의 조각으로 떼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구석기인들의 역동적인 석기제작법을 보여주는 유물도 나왔다.
하층에 속하는 4~5문화층에서는 안산암 등 화산암으로 만든 석기가 출토됐다. 안산암과 같은 화산암으로 만든 석기는 주로 전기와 중기 구석기 시대에 많이 발굴됐다. 이러한 석기 재료와 문화층의 차이로 볼 때, 예천 삼강리 유적의 시기는 전기 구석기 시대까지 올라갈 것으로 문화재청은 판단했다.
조사 지역과 인접한 곳에 있는 구석기 시대 유적으로는 상주 신상리 유적과 안동 마애리 유적이 있다. 출토된 유물 수량이 적고 유물 구성상을 복원하는 게 어려움이 있는데 반해, 예천 삼강리 유적은 경상북도 지역에서 확인된 유적 중 다양한 문화층과 유물 구성을 보여주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
동국문화재연구원은 예천 삼강리 유적이 경상북도 구석기 시대를 이해하는데 기준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전기 구석기 문화의 지역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하고 있다.
![]() |
경북 예천 삼강리 유적 조사지역 전경. /사진=뉴스1(문화재청 제공)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