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도시재생'

서울시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서울형 도시재생'의 13개 핵심지역을 선정해 사업을 본격화한다.

19일 서울시는 현재 진행 중인 도시재생사업의 법적 근거인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이 지난 18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조건부가결로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의 법정 절차가 마무리됐다.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은 향후 10년간 서울의 도시재생정책수립에 있어서 기본방향이 된다. 10년마다 수립되며 필요한 경우 5년마다 재정비된다.

이번에 처음 지정된 13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창신·숭인, 서울역 일대, 창동·상계, 가리봉, 세운상가, 낙원상가, 장안평, 해방촌, 장위1동, 암사1동, 성수 1·2가동, 신촌동, 상도4동이다.


창신·숭인 일대는 뉴타운 해제 지역과 봉제산업 밀집 지역으로 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주거산업문화 통합 재생이 추진된다. 세운상가 일대는 문화·관광과 연계한 도심산업 거점지역으로 조성되고 창동·상계일대는 수도권 동북부의 경제 중심지로 발돋움한다. 가리봉 일대는 G벨리와 연계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추진되고 성수 1·2가동 일대는 토착 수제화산업 활성화 및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진행된다.

해방촌 일대는 남산과 다문화를 활용한 지역의 명소로 조성되고 신촌동 일대는 대학가의 청년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경제 공동체 활성화'가 추진된다.


이들 지역은 4~5년에 걸쳐 최대 100억~500억원 규모로 지역역량강화사업, 앵커시설(지원시설) 확충 등 마중물사업(신활력사업)에 대한 공공지원을 받게 된다. 또 주민들 간 소통과 관계망 형성이 서울형 도시재생 성공의 중요 요소인 만큼 다양한 소통 방안이 마련된다.

'서울형 도시재생' 서울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도모델 13개소.  /자료=뉴스1(서울시 제공)
'서울형 도시재생' 서울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선도모델 13개소. /자료=뉴스1(서울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