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가스, 심근경색 사망률과 연관성 커… 미세먼지·오존은?
김수정 기자
3,082
공유하기
'배기가스 심근경색'
자동차에서 나오는 배기가스가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률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이산화질소 농도가 0.01ppm만 높아져도 급성 심근경색으로 30일 안에 숨질 확률이 10%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실제 국내 연구진이 지난 9년 동안 심근경색 환자 3만7800여 명을 살펴보니, 자동차 매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이산화질소가 단 0.01ppm만 증가해도 심근경색으로 30일 안에 숨질 확률이 10%나 증가했다. 과거 심근경색을 앓은 적이 있다면, 같은 조건에서 사망률이 21% 넘게 올랐다.
석탄과 석유를 태울 때 나오는 아황산가스는 농도가 0.001ppm 오르면 사망률이 2% 올랐고, 일산화탄소도 사망률을 2% 높였다. 반면, 미세먼지나 오존은 심근경색과는 큰 관련이 확인되지 않았다.
심근경색은 심장과 연결된 혈관이 막혀 생기는데, 나쁜 배기가스가 전신에 염증을 일으켜 혈관이 더 잘 막히고 치사율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에서 나오는 배기가스가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률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이산화질소 농도가 0.01ppm만 높아져도 급성 심근경색으로 30일 안에 숨질 확률이 10%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실제 국내 연구진이 지난 9년 동안 심근경색 환자 3만7800여 명을 살펴보니, 자동차 매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이산화질소가 단 0.01ppm만 증가해도 심근경색으로 30일 안에 숨질 확률이 10%나 증가했다. 과거 심근경색을 앓은 적이 있다면, 같은 조건에서 사망률이 21% 넘게 올랐다.
석탄과 석유를 태울 때 나오는 아황산가스는 농도가 0.001ppm 오르면 사망률이 2% 올랐고, 일산화탄소도 사망률을 2% 높였다. 반면, 미세먼지나 오존은 심근경색과는 큰 관련이 확인되지 않았다.
심근경색은 심장과 연결된 혈관이 막혀 생기는데, 나쁜 배기가스가 전신에 염증을 일으켜 혈관이 더 잘 막히고 치사율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