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문 보물지정'

오늘(2일) 문화재청은 서울시 종로구에 있는 '창의문'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881호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창의문은 한양도성 4소문의 하나로 서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1396년(태조 5) 도성 축조 시 건립돼 숙정문과 함께 양주, 고양방면으로 향하는 교통로였으나 1416년(태종 16) 풍수지리설에 의해 폐쇄돼 통행을 금지하다 1506년(중종 1) 다시 문을 열었다.

1623년 인조반정 때 반정군들이 창의문을 부수고 궁 안으로 들어가 광해군을 폐위하고 정권을 잡았던 역사적 무대이지만 임진왜란 때 문루(문 위에 세운 높은 집·다락)가 불에 타 없어졌다. 이후 1741~1742년(영조 17~18) 중건하면서 인조반정 공신들의 이름을 현판에 새겨 문루 내부에 걸었다.

내부에는 성으로 올라가기 위한 등성시설이 설치돼 있으며,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우진각 지붕을 이루고 있다. 성벽 위에 설치한 낮은 담장인 '여장'은 총을 쏠 수 있는 총안이 없는 전돌로 축조돼 있다. 천장은 서래를 모두 드러연등천장이며 추녀 끝의 사래에는 빗물막이용 토수를 끼웠다.


한편, 창의문은 한양도성 4소문 가운데 유일하게 조선시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고 임진왜란 이후 중건된 문루도 보전 상태가 양호해 조선후기 도성 문루의 건축양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이번에 보물로 지정됐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