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무장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사진=뉴스1
(왼쪽부터)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무장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사진=뉴스1
‘기후회의 합의문’

2020년 교토의정서 만료 이후 적용될 새로운 기후변화체제의 최종합의문이 12일(현지시간) 마련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폐막일인 12일, 의장국인 프랑스의 로랑 파비우스 외무장관은 195개 참가국 장관들에게 합의문 초안을 전달했다.


파비우스 장관은 "엄청난 합의문을 도출해냈다고 믿는다. 승인되면 역사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초안은 몇 가지 핵심 쟁점에서 진전을 보였다.


파비우스 장관은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지구 온도 상승을 섭씨 2도보다 훨씬 작게(well below) 제한하고 상승폭을 섭씨 1.5도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밝혔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현상을 겪고 있는 군소도서국을 비롯해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들은 섭씨 2도 제한만으로는 불충분하다며 이를 섭씨 1.5도로 더 낮춰야 한다고 요구해온 반면 중국과 인도 등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들은 화석연료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섭씨 2도 제한을 그대로 유지할 것을 주장하며 대립해왔다.


파비우스 장관은 또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해 선진국이 2020년부터 매년 최소 1000억달러(약 118조원)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초안은 "기후변화는 인간 사회와 지구에 시급하고 사실상 되돌릴 수 없는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파비우스 장관에 따르면 이번 합의문은 법적 구속력을 갖추게 되며 당사국들의 이행 여부를 5년마다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초안에 합의하게 되면 개발도상국의 지구온난화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부터 매년 최소 1000억달러를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고 파비우스 장관은 강조했다.

한편 이날 파비우스 장관과 함께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자리했다. 195개 당사국은 이날 오후 합의문의 채택 여부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