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EBRD 가입 승인, 유럽·아프리카·중동 투자 기회 열렸다
김수정 기자
2,329
공유하기
'중국 EBRD 가입 승인'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이 중국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지난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에 따라 세계 제2위의 경제 대국인 중국이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에 이 기관을 통해 투자할 수 있는 경로가 열리게 됐다.
EBRD 총재 수마 차크라바르티는 성명에서 "중국의 EBRD 가입은 EBRD가 일하는 지역들에서 중국 그룹들이 지속가능한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상당히 더 열어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EBRD는 1991년 소련 통치에서 벗어난 중·동유럽 국가들에 원조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됐으며 지금은 우크라이나, 이집트, 몽골 등 36개국의 개발 계획을 감독하고 있다.
이 기구가 활동하고 있는 국가들 중 일부는 중국이 통상과 투자 연계를 발전시키려고 힘쓰고 있는 '실크로드 경제벨트'라고 부르는 지역 내에 있다.
EBRD 회원은 유럽연합, 유럽투자은행 등 조직과 국가들이며, 대부분 유럽 국가들이지만 미국, 일본 등 일부 비유럽 국가들도 회원으로 결정에 참여한다.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이 중국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지난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에 따라 세계 제2위의 경제 대국인 중국이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에 이 기관을 통해 투자할 수 있는 경로가 열리게 됐다.
EBRD 총재 수마 차크라바르티는 성명에서 "중국의 EBRD 가입은 EBRD가 일하는 지역들에서 중국 그룹들이 지속가능한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상당히 더 열어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EBRD는 1991년 소련 통치에서 벗어난 중·동유럽 국가들에 원조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됐으며 지금은 우크라이나, 이집트, 몽골 등 36개국의 개발 계획을 감독하고 있다.
이 기구가 활동하고 있는 국가들 중 일부는 중국이 통상과 투자 연계를 발전시키려고 힘쓰고 있는 '실크로드 경제벨트'라고 부르는 지역 내에 있다.
EBRD 회원은 유럽연합, 유럽투자은행 등 조직과 국가들이며, 대부분 유럽 국가들이지만 미국, 일본 등 일부 비유럽 국가들도 회원으로 결정에 참여한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