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협의'

한국과 일본이 15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논의하는 제11차장급 협의를 일본 도쿄에서 개최한다.


이번 국장급 협의는 지난달 한일 정상회담 이후 두 째 열리는으로 사실상 올해 마지막 협의가 될 것로 보인다. 양국이 이번 협의에서도 접점을 찾지 못한다면 위안부 문제 타결은 사실상 내년으로 넘어갈 확률이 높아, 양측은 합의점을 도출해 내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으로 전망된다.

양국은 지난달 한일 정상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조속한 타결'에 합의한 이후 9일 만에 국장급 협의를 개최해 주목받았으나, 구체적인 접점 마련에는 실패했다.

양국이 3년 반 만의 정상회담 개최로 마련된 한일관계 개선의 모멘텀을 살리지 못한다면, 위안부 문제는 또다시 장기전으로 접어들 확률이 높아 우리 측은 일본 측의 결단을 요구하고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일본 측은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의 철거를 요구하는 등 이번에도 위안부 문제 외의 양국 사안을 적극적으로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오는 17일로 1심 선고가 예정된 전 산케이 서울지국장 문제, 일본 수산물 규제 문제 등에 대해서도 문제 제기를 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이번 협상에는 최근 양국 관계의 새로운 핵심 변수로 떠오른 야스쿠니 신사 폭발사건 한국인 용의자 문제가 대화 테이블에 올라올지도 주목된다. 야스쿠니 폭발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일본 요코하마의 한국총영사관에 배설물이 든 상자가 배송되는 등 양국 국민감정을 자극하는 사건이 뒤따라 발생하고 있어 양국은 이번 사태가 한일관계에 미칠 파장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협의에는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우리 측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일본 측 이시카네 기미히로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나선다.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 /사진=뉴스1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 /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