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이르면 2018년부터 친환경 자동차인 수소차를 300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15일 국무회의에서 확정했다고 밝혔다.

수소차는 내연기관 엔진이 없다. 외부의 전기 공급 없이 수소를 이용해 전기를 자체 생산해 구동하는 차량이다.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으며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 자동차다.

이번 계획에서 정부는 보조금과 수소차 가격 인하 등을 통해 현재 5000만원대에 살 수 있는 수소차를 2018년에는 3000만원대 후반, 2020년에는 3000만원대 초반 수준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수소차 구매시 지원하는 2750만원의 정부보조금과 지원차량 대수를 점차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보조금 외에 지자체에서 수소차 구매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방안도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전기차의 경우 정부 보조금(2016년 기준 1200만원) 외에 지자체가 평균 520만원을 지원 중이다. 수소차도 같은 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수소차 구매·등록 시 부과되는 세금도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도 관계 부처와 협의하기로 했다. 아울러 민간보급 활성화를 위해 현재 수소차 출고 가격(8500만원)을 2018년 6000만원, 2020년 5000만원 수준으인하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수소차 보급 목표는 2020년까지 9000대, 2030년까지 63만 대다. 궁극적으로 연간 신차 판매 중 수소차 비율을 10%로 높일 방침이다. 수소충전소는 2020년까지 80곳, 2030년까지 520곳이 각각 설치된다.

환경부는 2030년까지 수소차 63만 대가 보급되면 온실가스 440만 톤, 대기오염물질 5500 톤 감축과 석유 소비량 6억3000만 리터 절감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환경부 관계자에 따르면 수소관련 산업을 통해 84조원의 경제적 효과와 9만4000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차' /자료사진=뉴스1
'수소차' /자료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