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변이 발견, 질병관리본부 "국민들 우려할 변종은 아니다"
김수정 기자
2,489
공유하기
'메르스 변이'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변이가 발견됐다는 내용의 연구 논문을 질병관리본부 직원들이 국제 학술지에 게재했다. 하지만 변이 정도가 크지 않아 국민들이 우려할 수 있는 변종은 아니라는 게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이다.
질병관리본부가 메르스 환자 8명에게서 채취한 객담(가래) 등의 검체를 이용해 바이러스 표면의 '당단백질'(spike glycoprotein)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가 최근 과학저널 EDI(Emerging Infectious Diseases)에 게재됐다고 8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이번 메르스 바이러스 변이 연구에는 1번째, 2번째, 9번째, 10번째, 12번째, 13번째, 15번째 환자의 검체가 사용됐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 중 0.1%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견된 기존 바이러스와 차이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질병관리본부는 이번에 발견된 유전자변이가 감염력이나 치사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측은 "8% 이상의 염기서열 차이가 나야 변종으로 본다"며 "국민들이 우려할 수준의 변종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연구팀도 이런 변이가 결과적으로 메르스의 감염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결론 내리기 힘들다는 의견을 내놨다.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의 변이가 발견됐다는 내용의 연구 논문을 질병관리본부 직원들이 국제 학술지에 게재했다. 하지만 변이 정도가 크지 않아 국민들이 우려할 수 있는 변종은 아니라는 게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이다.
질병관리본부가 메르스 환자 8명에게서 채취한 객담(가래) 등의 검체를 이용해 바이러스 표면의 '당단백질'(spike glycoprotein)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가 최근 과학저널 EDI(Emerging Infectious Diseases)에 게재됐다고 8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이번 메르스 바이러스 변이 연구에는 1번째, 2번째, 9번째, 10번째, 12번째, 13번째, 15번째 환자의 검체가 사용됐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 중 0.1%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견된 기존 바이러스와 차이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질병관리본부는 이번에 발견된 유전자변이가 감염력이나 치사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측은 "8% 이상의 염기서열 차이가 나야 변종으로 본다"며 "국민들이 우려할 수준의 변종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연구팀도 이런 변이가 결과적으로 메르스의 감염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결론 내리기 힘들다는 의견을 내놨다.
![]() |
'메르스 변이'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