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공항 8만9000명, 언제 비행기 탈까… 생수·빵·모포 등 긴급 지원
진현진 기자
1,635
공유하기
'제주공항'
제주공항의 운항중단이 11시간 연장됐다. 제주공항 운항중단은 25일 오전 9시까지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기상상황이 나아지지 않아 이날 오후 8시로 변경됐다.
국토교통부는 제주지역에 몰아닥친 한파와 폭설 등 기상 악화로 인해 제주공항기상대 등과 협의를 거쳐 제주공항 운항 통제를 25일 오후8시까지로 연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제주공항은 23일 오후 5시50분부터 무려 50시간 동안이나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는 사태를 맞았다. 나흘간 제주도에 발이 묶인 시민은 총 9만여명에 달하게 됐다.
앞서 국토부는 25일 오전9시까지만 운항 통제를 예고했지만 "제주공항에 내려진 윈드시어(난기류)와 대설경보가 25일 오후12시까지 지속되는데다 오후8시까지 북서풍이 평균 9㎧, 순간 최대풍속 15㎧로 강하게 불 것으로 예보됐다"며 통제 연장이 불가피함을 설명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이번 기상상황으로 제주공항 출·도착 항공편은 23일 296편, 24일 517편이 결항됐으며, 25일 오후8시까지 예정된 390여편이 결항을 확정지으면서 사흘간 총 1200여편의 운항이 무산됐다. 무더기 결항 사태로 탑승하지 못한 승객들 중 제주에 발이 묶인 체류객은 23일 2만여명, 24일 4만여명으로, 25일 예정 승객인 2만9000여명이 더해지면서 총 8만9000명에 이른다.
국토부는 운항이 재개되는 즉시 안전 운항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임시항공편까지 투입해 수송인원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국토부 관계자는 "기상이 호전되면서 운항이 곧바로 재개된다고 하더라도 9만여 명에 이르는 체류객들이 모두 빠져나오는 데는 대략 2~3일 가량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항공사는 제주지역 내 체류여객 대책으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순찰 및 보안을 강화하고, 응급환자 대비 비상구급차를 대기시킨 상태다. 또한 음수기, 핸드폰 충전 서비스 등 여객편의시설을 지속 지원하고, 제주도와의 협조로 생수, 빵, 모포 등을 체류객에게 제공하는 한편 지자체 비상버스 20여대를 대기하게 해 공항 내 체류승객의 시내이동을 지원하도록 조치했다고 덧붙였다.
제주공항의 운항중단이 11시간 연장됐다. 제주공항 운항중단은 25일 오전 9시까지로 예정되어 있었지만 기상상황이 나아지지 않아 이날 오후 8시로 변경됐다.
국토교통부는 제주지역에 몰아닥친 한파와 폭설 등 기상 악화로 인해 제주공항기상대 등과 협의를 거쳐 제주공항 운항 통제를 25일 오후8시까지로 연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제주공항은 23일 오후 5시50분부터 무려 50시간 동안이나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는 사태를 맞았다. 나흘간 제주도에 발이 묶인 시민은 총 9만여명에 달하게 됐다.
앞서 국토부는 25일 오전9시까지만 운항 통제를 예고했지만 "제주공항에 내려진 윈드시어(난기류)와 대설경보가 25일 오후12시까지 지속되는데다 오후8시까지 북서풍이 평균 9㎧, 순간 최대풍속 15㎧로 강하게 불 것으로 예보됐다"며 통제 연장이 불가피함을 설명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이번 기상상황으로 제주공항 출·도착 항공편은 23일 296편, 24일 517편이 결항됐으며, 25일 오후8시까지 예정된 390여편이 결항을 확정지으면서 사흘간 총 1200여편의 운항이 무산됐다. 무더기 결항 사태로 탑승하지 못한 승객들 중 제주에 발이 묶인 체류객은 23일 2만여명, 24일 4만여명으로, 25일 예정 승객인 2만9000여명이 더해지면서 총 8만9000명에 이른다.
국토부는 운항이 재개되는 즉시 안전 운항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임시항공편까지 투입해 수송인원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국토부 관계자는 "기상이 호전되면서 운항이 곧바로 재개된다고 하더라도 9만여 명에 이르는 체류객들이 모두 빠져나오는 데는 대략 2~3일 가량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항공사는 제주지역 내 체류여객 대책으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순찰 및 보안을 강화하고, 응급환자 대비 비상구급차를 대기시킨 상태다. 또한 음수기, 핸드폰 충전 서비스 등 여객편의시설을 지속 지원하고, 제주도와의 협조로 생수, 빵, 모포 등을 체류객에게 제공하는 한편 지자체 비상버스 20여대를 대기하게 해 공항 내 체류승객의 시내이동을 지원하도록 조치했다고 덧붙였다.
![]() |
'제주공항'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