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폭운전 처벌'

찰청은 난폭운전에 대한 처벌 조항이 신설된 개정 도로교통법이 오늘(12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난폭운전을 하다 적발되면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지금까지는 특정인의 차량 운행을 고의로 방해하거나 폭력을 휘두르는 '보복운전'만이 형사처벌 대상이었다. 보복운전이 특정인을 겨냥한 범죄라면 난폭운전은 도로 위의 불특정 다수에게 교통상 위험을 안기는 행위를 말한다.


경찰은 신호 위반, 중앙선 침범, 과속, 횡단·유턴·후진 금지 위반, 진로 변경방법 위반, 급제동, 앞지르기 방법 위반, 안전거리 미확보, 소음 발생 등 9개 위반 행위 중 2가지 이상을 연달아 하거나 하나의 행위를 지속·반복해 다른 운전자에게 위협을 가하는 것을 난폭운전으로 규정했다. 량 사이로 잇따라 급차로변경을 하며 지그재그로 운전하는 일명 '칼치기', 중앙선을 침범해 반복적으로 앞지르하는 행위, 앞차가 느리게 간다고 바짝 붙어서 지속적으로 경적을 누르는 행위 등이 난폭운전에 해당한다.

난폭운전자에게는 형사처벌에 더해 벌점 40점이 추가로 부과된다. 난폭운전자가속되면 면허 취소, 불구속 입건 경우 40일 이상 면허정지와 6시간의 특별교통안전교육을 받아야 한다.


또한 경찰은 현장단속을 강화하고 스마트 국민제보 애플케이션 '목격자를 찾습니다'에 '난폭·보복운전 신고 전용창구'를 별도로 마련해 피해자 등이 손쉽게 제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난폭운전 처벌' /사진=뉴스1
'난폭운전 처벌' /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