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이한구 갈등 폭발, '국민공천제' 물 건너 가나
김수정 기자
2,894
공유하기
'김무성 이한구'
공천 룰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이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공관위) 위원장의 갈등이 결국 터졌다. 갈등을 초래한 문제는 '우선추천지 선정' 때문이다.
이한구 위원장이 전국 광역시·도별로 최대 3곳까지 우선추천지역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하자, 김무성 대표는 이를 상향식 공천을 훼손하는 전략공천 의도로 읽고 "이 위원장 개인의 생각일 뿐 당헌·당규에 어긋난다"고 무시했다.
이에 이 위원장은 "당 대표는 공천에 관여하지 말라"는 말로 응수했다.
이 위원장은 또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천 룰 논의를 위해 김 대표와 회동할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 "분명한 것은 당 대표는 아무 권한이 없고, 공관위는 최고위와 관계를 맺어야 한다"며 "그러지 않으면 공천 관리가 안된다"고 답했다.
또한 "과거에도 당 대표 공천을 안 준 적이 있다. 공천에 관여하지 말라"며 김 대표가 공천 룰에 관여하는 등 월권을 할 경우, 당 대표에게도 공천을 주지 않겠다는 경고를 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김 대표의 "당헌·당규에 어긋난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당헌·당규를 알면 내가 더 알텐데 뭐가 공천 룰에서 벗어났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현행 당헌·당규의 틀을 구축한 특위 위원장 출신임을 강조하며, "어떤 곳은 우선추천지가 4개가 될 수도 있다"고 애초 발표보다 오히려 늘려 잡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이에 앞서 김 대표 역시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를 통해 "국민에게 수 백번 약속한 국민공천제는 절대 흔들릴 수 없는 최고의 가치"라면서 "그 누구도 국민과 약속한 이 국민공천제를 흔들 수 없다"고 못 박은 바 있다.
또한 비공개 회의에 참석했던 복수의 참석자에 따르면, 김 대표는 "선거에 지는 한이 있어도 (이한구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 이렇게 한다면 공관위를 해산할 수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두 사람의 날선 신경전은 개인 간의 갈등을 넘어 '친박' 대 '비박' 구도로 번지는 분위기다. 친박계는 일제히 이 위원장을 옹호하고 나섰고, 이에 대항해 비박계는 지난 17일 의원총회 소집 요구를 위한 서명 작업을 마쳤다.
공천 룰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이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공관위) 위원장의 갈등이 결국 터졌다. 갈등을 초래한 문제는 '우선추천지 선정' 때문이다.
이한구 위원장이 전국 광역시·도별로 최대 3곳까지 우선추천지역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하자, 김무성 대표는 이를 상향식 공천을 훼손하는 전략공천 의도로 읽고 "이 위원장 개인의 생각일 뿐 당헌·당규에 어긋난다"고 무시했다.
이에 이 위원장은 "당 대표는 공천에 관여하지 말라"는 말로 응수했다.
이 위원장은 또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천 룰 논의를 위해 김 대표와 회동할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 "분명한 것은 당 대표는 아무 권한이 없고, 공관위는 최고위와 관계를 맺어야 한다"며 "그러지 않으면 공천 관리가 안된다"고 답했다.
또한 "과거에도 당 대표 공천을 안 준 적이 있다. 공천에 관여하지 말라"며 김 대표가 공천 룰에 관여하는 등 월권을 할 경우, 당 대표에게도 공천을 주지 않겠다는 경고를 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김 대표의 "당헌·당규에 어긋난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당헌·당규를 알면 내가 더 알텐데 뭐가 공천 룰에서 벗어났다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현행 당헌·당규의 틀을 구축한 특위 위원장 출신임을 강조하며, "어떤 곳은 우선추천지가 4개가 될 수도 있다"고 애초 발표보다 오히려 늘려 잡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이에 앞서 김 대표 역시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를 통해 "국민에게 수 백번 약속한 국민공천제는 절대 흔들릴 수 없는 최고의 가치"라면서 "그 누구도 국민과 약속한 이 국민공천제를 흔들 수 없다"고 못 박은 바 있다.
또한 비공개 회의에 참석했던 복수의 참석자에 따르면, 김 대표는 "선거에 지는 한이 있어도 (이한구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 이렇게 한다면 공관위를 해산할 수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두 사람의 날선 신경전은 개인 간의 갈등을 넘어 '친박' 대 '비박' 구도로 번지는 분위기다. 친박계는 일제히 이 위원장을 옹호하고 나섰고, 이에 대항해 비박계는 지난 17일 의원총회 소집 요구를 위한 서명 작업을 마쳤다.
![]() |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왼쪽)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공천관리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서 각자 생각에 잠겨 있다.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