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치커피'

원액상태로 보관이 용이하고 특유의 향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더치커피의 일부 제품에서 세균수가 기준량의 1만배 가까이 검출됐다.


더치커피는 3~4분 내의 짧은 시간에 고온의 물로 추출하는 일반커피와 달리, 저온의 물로 3시간 이상의 장시간동안 추출하는 커피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더치커피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 아메리카노에 비해 대량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제품이 카페인 관련 '소비자 주의표시'를 하지 않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 유통 중인 더치커피 30개 제품에 대한 카페인을 조사한 결과 제품의 평균 카페인 함량(1.7mg/ml)은 일반 매장 아메리카노 커피(0.4mg/ml)보다 4배 이상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조사결과 현재 커피 유형으로 허가받은 27개 중 22개(81.5%) 제품은 고카페인 음료임에도 이를 일부 또는 전부 누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더치커피는 물에 희석해서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보다 카페인이 많이 포함돼 있다.


아메리카노 1잔(350ml 기준)에 카페인이 평균 140mg이 포함돼 있지만 더치커피 원액을 물과 3:1의 비율로 희석해서 마실 경우(희석액 350ml 기준) 카페인이 평균 149mg으로 아메리카노 1잔보다 많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커피 유형 제품은 현행법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100ml당 15mg이상 함유돼 있으면 어린이나 임산부 등이 주의해야한다고 표기해야한다"며 "대부분의 제품이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더치커피의 위생과 관련해 커피 유형 3개 제품(10.0%)이 일반세균 기준치(1ml 당 100 이하)를 위반(17~9900배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개 제품은 대장균군(기준치 음성)도 함께 검출돼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치커피가 저온에서 장시간 추출해 숙성 등의 과정을 거쳐 유통되는 만큼 커피원두·물·용기·작업자 등의 비위생적인 관리가 세균 오염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더치커피의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 피해확산을 막기 위해 기준위반 업체에 ▲제품의 자발적 회수 및 판매중단 ▲표시사항 개선 등을 권고하여 조치를 완료했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더치커피 제조 및 유통 등의 위생관리 강화 ▲더치커피 표시 등의 관리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더치커피' /사진=이미지투데이 @머니위크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창업의 모든 것
'더치커피' /사진=이미지투데이 @머니위크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창업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