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건보료, 세대당 '월평균 10만원' 돌파… 전체 진료비도 5년만에 최대 증가
김수정 기자
2,706
공유하기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1세대가 부담하는 월평균 보험료가 지난해 처음으로 10만원을 넘어섰다. 또 노인 인구 증가로 지난해 건강보험 진료비가 5년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5 건강보험 주요통계'를 지난 28일 발간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직장가입자 1세대에 부과된 월평균 보험료는 10만510원이었다. 2014년 월평균 보험료 9만7046원에 비해 3464원 늘어난 액수로, 직장가입자 1세대 당 월평균 보험료가 10만원을 넘은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2009년 7만 250원이던 직장가입자 1세대 당 월평균 보험료는 6년 새 43.1% 증가했다. 지역가입자 역시 같은 기간 동안 30.7%나 증가해 지난해 1세대당 월 평균 보험료는 8만876원으로 집계됐다. 또 직장보험료 부과액은 36조9548억원, 지역보험료 부과 총액은 7조3750억원으로 각각 7.5%, 2.3% 증가했다.
지난해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비급여 진료 제외)에 대한 전체 진료비(환자 개인부담금+건강보험 부담금)는 57조9593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다. 2010년(10.9%)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공단 측은 진료비 증가 요인으로 '인구 고령화'를 꼽았다.
실제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 건강보험 적용인구(건강보험 가입자와 피부양자를 포함한 건강보험 혜택 인구)의 12.3%(622만명)에 불과하지만, 이들의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37.8%에 해당하는 21조9210억원에 달했다.
전체 진료비 중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32.4%, 2011년 33.3%, 2012년 34.4%, 2013년 35.4%, 2014년 36.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역시 29만7368원으로 1인당 월평균 진료비의 3.1배였다.
한편, 연말 기준 건강보험 적용인구는 5049만명으로 전년대비 0.3% 늘었다. 이 중 직장 적용인구(직장가입자+피부양자)는 71.7%인 3623만명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5 건강보험 주요통계'를 지난 28일 발간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직장가입자 1세대에 부과된 월평균 보험료는 10만510원이었다. 2014년 월평균 보험료 9만7046원에 비해 3464원 늘어난 액수로, 직장가입자 1세대 당 월평균 보험료가 10만원을 넘은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2009년 7만 250원이던 직장가입자 1세대 당 월평균 보험료는 6년 새 43.1% 증가했다. 지역가입자 역시 같은 기간 동안 30.7%나 증가해 지난해 1세대당 월 평균 보험료는 8만876원으로 집계됐다. 또 직장보험료 부과액은 36조9548억원, 지역보험료 부과 총액은 7조3750억원으로 각각 7.5%, 2.3% 증가했다.
지난해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비급여 진료 제외)에 대한 전체 진료비(환자 개인부담금+건강보험 부담금)는 57조9593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다. 2010년(10.9%)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공단 측은 진료비 증가 요인으로 '인구 고령화'를 꼽았다.
실제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 건강보험 적용인구(건강보험 가입자와 피부양자를 포함한 건강보험 혜택 인구)의 12.3%(622만명)에 불과하지만, 이들의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37.8%에 해당하는 21조9210억원에 달했다.
전체 진료비 중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32.4%, 2011년 33.3%, 2012년 34.4%, 2013년 35.4%, 2014년 36.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노인 1인당 월평균 진료비 역시 29만7368원으로 1인당 월평균 진료비의 3.1배였다.
한편, 연말 기준 건강보험 적용인구는 5049만명으로 전년대비 0.3% 늘었다. 이 중 직장 적용인구(직장가입자+피부양자)는 71.7%인 3623만명이었다.
![]() |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