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희망을 보았다, 새누리당 과반 저지할 수 있다"
서대웅 기자
2,260
공유하기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서울 마포을)이 '더컸 유세단'을 출범시킨 계기에 대해 당의 '허리 지지층'을 위해서라고 밝혔다. 또 국민의당이 최근 야권연대 불가 방침을 못 박은 것과 관련해선 "바보 같은 방침"이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오늘(29일) 오전 SBS 라디오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해 "정청래 컷오프 이전과 이후가 많이 달라졌다. 지금은 침묵을 하는 분위기이다"라며 "이대로 있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유세단을 만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의원은 "비례대표 파동을 거치면서 핵심 지지층의 실망감이 많이 있었다"라면서도 "(더컸 유세단) 개소식 축사를 계기로 20~30군데를 다녔다. 희망을 보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청래 의원이 힘을 내서 다니니까 우리도 그냥 있을 수는 없다는 분위기가 조금씩 감지되고 있다"며 "더 열심히 해서 우리가 10석을 더 갖는다면 새누리당의 과반을 저지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당이 최근 야권연대 불가 방침에 대해 정 의원은 "국민의당이 중앙당의 방침으로 야권연대를 논의하는 국민의당 후보들을 제명하겠다는 발언을 한 것은 굉장히 유감스럽다"며 "바보같은 방침"이라고 일갈했다.
정 의원은 그러면서 "중앙당 차원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그러기에 개별 각자 지역구별로 사정별로 연대가 가능한 부분은 논의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그것(야권 연대)이 국민의당 전체에 득표력에도 도움이 된다"고도 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정 의원은 "초창기에 당을 안정시킨 공로가 있다"라면서도 "갑자기 당에 오시다 보니 당의 역학관계. 지역구별 사정을 충분히 파악하셔야 하는데 '외연 확장'이라는 목표가 있다 보니 핵심 지지층에게 상처를 줬던 건 사실인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 대표에 대한 비판을 자제해달라"는 주장과 관련, "어차피 총선이 끝나면 성공하든 실패하든 평가 작업이 이뤄지게 돼 있다"며 "그때 가서 충분히 (평가)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 의원은 오늘(29일) 오전 SBS 라디오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해 "정청래 컷오프 이전과 이후가 많이 달라졌다. 지금은 침묵을 하는 분위기이다"라며 "이대로 있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유세단을 만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의원은 "비례대표 파동을 거치면서 핵심 지지층의 실망감이 많이 있었다"라면서도 "(더컸 유세단) 개소식 축사를 계기로 20~30군데를 다녔다. 희망을 보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청래 의원이 힘을 내서 다니니까 우리도 그냥 있을 수는 없다는 분위기가 조금씩 감지되고 있다"며 "더 열심히 해서 우리가 10석을 더 갖는다면 새누리당의 과반을 저지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당이 최근 야권연대 불가 방침에 대해 정 의원은 "국민의당이 중앙당의 방침으로 야권연대를 논의하는 국민의당 후보들을 제명하겠다는 발언을 한 것은 굉장히 유감스럽다"며 "바보같은 방침"이라고 일갈했다.
정 의원은 그러면서 "중앙당 차원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그러기에 개별 각자 지역구별로 사정별로 연대가 가능한 부분은 논의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그것(야권 연대)이 국민의당 전체에 득표력에도 도움이 된다"고도 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정 의원은 "초창기에 당을 안정시킨 공로가 있다"라면서도 "갑자기 당에 오시다 보니 당의 역학관계. 지역구별 사정을 충분히 파악하셔야 하는데 '외연 확장'이라는 목표가 있다 보니 핵심 지지층에게 상처를 줬던 건 사실인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 대표에 대한 비판을 자제해달라"는 주장과 관련, "어차피 총선이 끝나면 성공하든 실패하든 평가 작업이 이뤄지게 돼 있다"며 "그때 가서 충분히 (평가)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 |
더불어민주당 '더컸 유세단'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출범 기자회견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