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며 부모와 기혼 자녀가 함께 거주하는 '세대 통합' 가구가 늘고 있다. 세대 통합 거주에 대한 인식도 차츰 변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세대 통합형 주택 활성화의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임차시장 불안이 확대되면서 세대 통합형 주택을 적극 장려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김태섭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전월세 부담으로 인해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가 같이 거주하는 세대 통합형 주택의 선호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이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현재 부모와 기혼 자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는 약 5.7%다. 향후 여건에 따라 세대 통합형 주택에 거주할 의향이 있는 가구는 19.5%인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세대 통합형 주택 거주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세대 간의 독립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주택구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 통합을 할 경우 가족형의 일반주택을 선호하는 가구는 8.3%에 불과한 반면 복층형 선호는 51.4%, 세대 구분형 선호는 26.4%로 높았다.


김 연구위원은 "계속되는 주거비 부담으로 부모와 자녀세대 모두 세대 통합 주거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으나 기존 주택의 구조적인 문제로 쉽지 않을 것"이라며 "주택을 분리해 함께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과 세대 통합을 위한 세대 구분형 주택공급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보다 적극적인 장려를 위해서 부모와 자녀 세대가 일정기간 함께 거주할 경우 증여세 감면이나 상속세 면제의 한도를 확대하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