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난민 위기 해결 위한 국제적 단합 촉구
김수정 기자
4,086
공유하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시리아 내전에서 비롯된 난민 위기 해결을 위해 국제적으로 단합된 행동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반 총장은 지난 3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유럽 유엔본부에서 유엔난민기구(UNHCR)가 주최한 시리아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회의에서 "세계 각국 정부는 시리아 난민들에게 재정착 기회를 제공하는 등 책임을 분담해야 하며, 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고 말했다.
반 총장은 "각국 정부가 가족 재회 허용 등 시리아 난민을 포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면서 "오는 5월 터키 정상회의와 9월 유엔 총회에서 대규모 난민 재정착 문제를 더욱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회의에 앞서 세계은행 김용 총재와 요르단 등의 시리아 난민촌을 방문한 자리에서 난민들 사이에 여전히 희망이 있음을 발견했다"면서 "나 역시 (한국전쟁 당시) 난민이었고 유엔의 도움으로 생활한 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90개국이 참가한 이번 회의는 시리아 난민 재정착을 위해 110억달러(약 12조6482억여원)의 기금 조성을 약속했던 지난 2월 영국 런던 회의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렸다.
이번 제네바 회의의 목적은 난민의 폭발적 증가로 힘겨워하는 이라크, 요르단, 레바논, 터키 등 시리아 인근 국가들의 부담을 덜어주도록 시리아 난민의 약 10%인 48만명을 앞으로 3년 동안 이들 국가 밖에서 재정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유엔난민기구(UNHCR)는 5년 동안 계속된 시리아 내전으로 480만명의 시리아 난민이 시리아에서 탈출했으며, 660만명은 시리아 국내에서 거주를 옮긴 것으로 추정했다.
반 총장은 지난 3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유럽 유엔본부에서 유엔난민기구(UNHCR)가 주최한 시리아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회의에서 "세계 각국 정부는 시리아 난민들에게 재정착 기회를 제공하는 등 책임을 분담해야 하며, 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고 말했다.
반 총장은 "각국 정부가 가족 재회 허용 등 시리아 난민을 포용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면서 "오는 5월 터키 정상회의와 9월 유엔 총회에서 대규모 난민 재정착 문제를 더욱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회의에 앞서 세계은행 김용 총재와 요르단 등의 시리아 난민촌을 방문한 자리에서 난민들 사이에 여전히 희망이 있음을 발견했다"면서 "나 역시 (한국전쟁 당시) 난민이었고 유엔의 도움으로 생활한 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90개국이 참가한 이번 회의는 시리아 난민 재정착을 위해 110억달러(약 12조6482억여원)의 기금 조성을 약속했던 지난 2월 영국 런던 회의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렸다.
이번 제네바 회의의 목적은 난민의 폭발적 증가로 힘겨워하는 이라크, 요르단, 레바논, 터키 등 시리아 인근 국가들의 부담을 덜어주도록 시리아 난민의 약 10%인 48만명을 앞으로 3년 동안 이들 국가 밖에서 재정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유엔난민기구(UNHCR)는 5년 동안 계속된 시리아 내전으로 480만명의 시리아 난민이 시리아에서 탈출했으며, 660만명은 시리아 국내에서 거주를 옮긴 것으로 추정했다.
![]()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자료사진=뉴스1(AFP 제공)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