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5 보조금' LG유플러스 최대, SK텔레콤 최저
진현진 기자
4,965
공유하기
LG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LG G5'가 오늘(31일) 출시된 가운데, 이동통신사들이 G5의 공시지원금(보조금)을 22~26만원대로 책정했다.
G5의 출고가는 83만6000원으로 지난 11일 출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S7', '갤럭시S7엣지'와 동일하며 이통사의 지원금 또한 비슷한 규모다.
31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각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G5 지원금을 공시했다. G5에 가장 많은 보조금을 주는 이통사는 LG유플러스로 가장 비싼 10만원대 요금제(New 음성무한Video100) 가입 조건으로 지원금 26만4000원을 지급한다. 여기에 유통점에서 지급하는 추가지원금 15%(3만9600원)를 받으면 소비자들은 G5를 53만2400원에 구입할 수 있다.
KT는 10만원대 'LTE 데이터 선택999' 요금제 기준으로 G5에 지원금 23만7000원을 지급한다. SK텔레콤은 22만8000원으로 이통 3사 중 가장 낮은 지원금을 공시했다.
이통 3사가 책정한 G5 지원금 규모는 G5와 경쟁작인 삼성전자의 갤럭시S7시리즈와 비교할 때, LG유플러스와 KT는 동일한 금액을 지급하고 SK텔레콤은 2만원 낮은 수준이다.
가장 많은 소비자들이 이용하는 6만원대 요금제 기준으로는 LG유플러스가 지원금 15만8000원을 제공하며 KT는 14만3000원, SK텔레콤은 12만5000원을 지급한다. 최저가 요금제에서도 LG유플러스는 가장 많은 지원금을 지급한다. 3만원대 요금제를 이용할 경우, LG유플러스는 지원금 7만9000원, KT는 7만2000원, SK텔레콤은 5만5000원을 지급한다.
한편 오늘 출시되는 G5는 5.3인치의 화면 크기에 4GB 램(RAM)과 32GB 내장메모리를 갖췄다. 모바일 응용프로세서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820'이 탑재됐으며 G5에 최초로 탑재돼 화제를 모은 모듈식 배터리의 용량은 2800mAh다. 제품 색상은 실버, 티탄, 골드, 핑크 등 4가지다.
특히 G5는 세계 최초의 모듈폰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G5와 결합할 수 있는 프렌즈(모듈)는 모두 6종으로 ▲하이파이 플러스(18만9000원) ▲H3 by B&O 플레이(27만9000원) ▲캠 플러스(9만9000원) ▲360 VR(29만9000원) ▲360 캠(29만9000원) ▲톤 플러스(21만9000원) 등이 있다.
![]() |
LG 'G5' /사진=LG전자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