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포스코, ‘기업전용 LTE’ 구축…‘속도·보안’ 두 마리 토끼 잡았다
허주열 기자
2,653
공유하기
KT가 포스코와 협력해 포항·광양제철소, 서울센터를 통합하는 ‘기업전용 LTE’ 기반 ‘POSCO-LTE’(이하 P-LTE) 구축을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KT의 기업전용 LTE를 기반으로 새롭게 구축된 P-LTE는 외부 공용망과 분리된 무선망을 이용하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이를 통해 ‘가’급 국가중요시설인 포스코의 엄격한 보안규정을 충족할 뿐 아니라 업무 데이터도 초고속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KT가 가진 기술력을 활용해 음성·와이파이·무전기 등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P-LTE 무선망 하나로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게 구축한 점도 기존 망과의 차이점이다.
특히 양 제철소의 무선망까지 통합한 이중화 구조로 구축됐기 때문에 한쪽 망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지역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KT 측은 여의도 면적의 10배에 이르는 제철소에서 지상은 물론 지하 컬버트까지 어디서나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P-LTE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문환 KT 기업사업부문장(부사장)은 “이번에 구축한 P-LTE가 작업자와 설비, 공정과 작업장을 유기적으로 통합해 더 나은 품질, 더 빠른 생산 활동을 통해 포스코의 글로벌 경쟁력이 높아지는데 기여했으면 한다”며 “앞으로 한국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기업전용 LTE는 물론 다양한 산업용 IoT 솔루션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KT의 기업전용 LTE를 기반으로 새롭게 구축된 P-LTE는 외부 공용망과 분리된 무선망을 이용하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이를 통해 ‘가’급 국가중요시설인 포스코의 엄격한 보안규정을 충족할 뿐 아니라 업무 데이터도 초고속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KT가 가진 기술력을 활용해 음성·와이파이·무전기 등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P-LTE 무선망 하나로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게 구축한 점도 기존 망과의 차이점이다.
특히 양 제철소의 무선망까지 통합한 이중화 구조로 구축됐기 때문에 한쪽 망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지역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KT 측은 여의도 면적의 10배에 이르는 제철소에서 지상은 물론 지하 컬버트까지 어디서나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P-LTE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문환 KT 기업사업부문장(부사장)은 “이번에 구축한 P-LTE가 작업자와 설비, 공정과 작업장을 유기적으로 통합해 더 나은 품질, 더 빠른 생산 활동을 통해 포스코의 글로벌 경쟁력이 높아지는데 기여했으면 한다”며 “앞으로 한국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기업전용 LTE는 물론 다양한 산업용 IoT 솔루션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 |
왼쪽부터 남수희 포스코 선강 부소장(이하 포스코), 조일현 안전설비부소장, 박미화 정보기획실장, 이대우 노경협의회 대표, 김학동 포항제철소장, 이문환 KT 기업사업부문장(이하 KT), 이필재 마케팅전략본부장, 서창석 네트워크 전략본부장, 정윤식 기업고객 본부장 등이 포항제철소에서 P-LTE 개통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KT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