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혼인율 역대 최저, 결혼도 '서른'은 기본… "취업난·경제적 어려움 때문"
서대웅 기자
3,510
공유하기
지난해 한국 혼인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취업난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등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이 지난 7일 발표한 '2015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30만2828건)는 2003년(30만2503건) 이후 가장 적었다. 특히 인구 대비 결혼 비율을 보여주는 조혼인율(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은 5.9건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결혼연령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남성 평균 초혼연령은 32.6세, 여성은 30.0세로 전년보다 각각 0.2세 상승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각각 1.7세, 2.2세 늘어난 수치다. 특히 여성 초혼연령은 지난해 처음 30대로 진입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 적령기인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까지 연령대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데다 취업난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혼인 건수가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이 지난 7일 발표한 '2015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30만2828건)는 2003년(30만2503건) 이후 가장 적었다. 특히 인구 대비 결혼 비율을 보여주는 조혼인율(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은 5.9건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결혼연령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남성 평균 초혼연령은 32.6세, 여성은 30.0세로 전년보다 각각 0.2세 상승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각각 1.7세, 2.2세 늘어난 수치다. 특히 여성 초혼연령은 지난해 처음 30대로 진입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 적령기인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까지 연령대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데다 취업난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혼인 건수가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