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비해 '밥' 말고도 다른 먹거리가 다양해진 이유로 밥을 잘 먹지 않는 탓에 쌀 소비가 계속해서 줄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쌀 소비가 40년새 54% 감소했다. 1970년대는 국민 한 명당 연간 136.4㎏의 쌀을 소비했으나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2.9㎏으로 확 줄었다. 1일 소비량은 172.4g으로 조사됐다.


하루 쌀 소비량이 172g이라는 말은 하루에 공기밥 2개를 채 안 먹는 셈이다. 쌀 20㎏을 4만원이면 살 수 있으니 밥 한 공기(쌀 100g)를 만드는데 쌀값이 200원이면 충분하다. 누구나 쉽게 뽑아먹을 수 있는 자판기 커피값 400원보다도 싼 가격이다.

쌀 소비가 감소하다 보니 국내 쌀 재고량은 남아도는 상황이다. 지난해 국내 쌀 재고량은 135만톤으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권장 재고량인 72만톤의 두 배에 육박한다. 재고쌀을 해외원조, 대북지원, 가공용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했으나 쌀 소비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그렇다고 식량 주권 차원에서 쌀 농사를 포기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쌀 소비를 늘리는 정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번 쓰고 버리는 꽃 대신 쌀을 기부한다든지, 쌀 가공식품을 개발하고 수출을 확대하는 등 여러 방안이 현장에서 논의되고 있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