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직여성 결혼비율, 10년새 '6만명' 감소… '맞벌이 안하면 결혼하기 힘들다'
서대웅 기자
4,403
공유하기
학생 등 직업이 없는 여성의 혼인율이 지난해 33.9%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상황이 어려워져 맞벌이가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11일 통계청의 '2015년 혼인 통계'를 보면, 지난해 직업별 혼인 건수 가운데 무직·가사·학생 신분으로 결혼한 여성은 10만2915명으로 30만2828건 가운데 33.9%였다. 이는 2005년 51.8%에 비해 10년새 17.9%포인트 급감한 비율이다. 무직 신분에서 결혼한 여성은 2005년 16만9581명에 달했으나 2013년 12만275명으로 감소하는 등 해마다 줄었다.
무직 신분 여성의 혼인 감소폭도 커지고 있다. 2011년 무직 신분 결혼 여성은 2010년보다 4.3% 감소하기 시작해 2012년 8.6%, 2013년 6.3%, 2014년에는 10.2%까지 감소폭이 커졌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전체 혼인 건수는 2011년 0.9% 늘어난 데 그쳤으며 2012년 0.6%, 2013년 1.3%, 2014년 5.4% 줄었다.
이와 관련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생활 유지가 어려운 경제 상황 탓에 직장을 잡고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가정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의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가 혼인 통계에서도 발견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11일 통계청의 '2015년 혼인 통계'를 보면, 지난해 직업별 혼인 건수 가운데 무직·가사·학생 신분으로 결혼한 여성은 10만2915명으로 30만2828건 가운데 33.9%였다. 이는 2005년 51.8%에 비해 10년새 17.9%포인트 급감한 비율이다. 무직 신분에서 결혼한 여성은 2005년 16만9581명에 달했으나 2013년 12만275명으로 감소하는 등 해마다 줄었다.
무직 신분 여성의 혼인 감소폭도 커지고 있다. 2011년 무직 신분 결혼 여성은 2010년보다 4.3% 감소하기 시작해 2012년 8.6%, 2013년 6.3%, 2014년에는 10.2%까지 감소폭이 커졌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전체 혼인 건수는 2011년 0.9% 늘어난 데 그쳤으며 2012년 0.6%, 2013년 1.3%, 2014년 5.4% 줄었다.
이와 관련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생활 유지가 어려운 경제 상황 탓에 직장을 잡고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가정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의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가 혼인 통계에서도 발견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