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개표결과, 12년만에 제1당 교체… 더민주, 국회의장도 '예약'
김수정 기자
10,020
공유하기
20대 총선 개표결과 새누리당이 '여소야대' 구도뿐만 아니라 12년 만에 원내 제1당 자리를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에 내줬다.
오늘(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최종 개표결과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300개 의석 가운데 122석(지역구 105, 비례대표 17)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더민주는 이보다 1석 많은 123석(지역구 110, 비례대표 13)을 얻어 원내 1당에 올랐다. 국민의당은 38석(지역구 25, 비례대표 13)을 얻어 교섭단체는 물론 확실한 제3당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정의당도 6석(지역구 2, 비례대표 4)을 차지해 선방했다.
한때 180석까지 예상했던 새누리당이 122석을 확보하는데 그친 것은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 참패와 텃밭인 영남에서의석을 잃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도권은 이번 총선에서 서울(49석), 인천(13석), 경기(60석) 등 총 122석에 달하는데, 새누리당은 이 가운데 3분의 1도 안되는 35석을 획득했다.
이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탄핵역풍으로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이 대패했을 때보다도 좋지 않은 결과다. 당시 한나라당은 수도권에서 33석을 차지해 76석을 얻은 열린우리당과 비교해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탄핵보다 이번 총선 과정에서 불거진 '공천 갈등'과 박근혜정부의 '경제 책임론'에 유권자들의 표심을 움직인 셈이다.
영남에서는 총 65곳 가운데 17곳에서 야당과 무소속 후보에게 밀렸다. 그나마 호남에서는 이정현 후보(전남 순천)에 이어 정운천 후보(전북 전주을)까지 2명이 당선됐다.
반면, 더민주는 수도권에서 예상 밖으로 압승했으며, 당초 목표의석을 훨씬 상회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목표는 107석이었고, 선거일 직전에는 70~80석까지 떨어질 것으로 자체 분석했지만 수도권에서 81석을 차지하면서 승패가 엇갈렸다. 또 대구에서는 김부겸 후보가 31년 만에 보수 텃밭에서 당선됐으며, 부산에서는 18개 지역구 가운데 5곳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다만 호남에서는 국민의당에 완패했다.
국민의당은 호남에서 압승을 거두며 이 지역의 새로운 중심정당이 됐다. 특히 야권의 핵심인 광주 8개 지역구를 싹쓸이했으며, 전남과 전북에서도 각각 8개와 7개 지역구를 차지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특히 정당투표율에서도 더민주를 제쳤다.
정의당도 중심축인 심상정 대표뿐 아니라 노회찬 후보(경남 창원성산)도 당선을 확정지었다. 정의당은 6석을 차지하면서 핵심지지층이 견고함을 확인했다.
한편, 더민주는 다수당에서 맡는다는 관례에 따라 20대 국회에서 국회의장을 배출할 전망이다.
오늘(1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최종 개표결과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300개 의석 가운데 122석(지역구 105, 비례대표 17)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더민주는 이보다 1석 많은 123석(지역구 110, 비례대표 13)을 얻어 원내 1당에 올랐다. 국민의당은 38석(지역구 25, 비례대표 13)을 얻어 교섭단체는 물론 확실한 제3당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정의당도 6석(지역구 2, 비례대표 4)을 차지해 선방했다.
한때 180석까지 예상했던 새누리당이 122석을 확보하는데 그친 것은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 참패와 텃밭인 영남에서의석을 잃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도권은 이번 총선에서 서울(49석), 인천(13석), 경기(60석) 등 총 122석에 달하는데, 새누리당은 이 가운데 3분의 1도 안되는 35석을 획득했다.
이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탄핵역풍으로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이 대패했을 때보다도 좋지 않은 결과다. 당시 한나라당은 수도권에서 33석을 차지해 76석을 얻은 열린우리당과 비교해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탄핵보다 이번 총선 과정에서 불거진 '공천 갈등'과 박근혜정부의 '경제 책임론'에 유권자들의 표심을 움직인 셈이다.
영남에서는 총 65곳 가운데 17곳에서 야당과 무소속 후보에게 밀렸다. 그나마 호남에서는 이정현 후보(전남 순천)에 이어 정운천 후보(전북 전주을)까지 2명이 당선됐다.
반면, 더민주는 수도권에서 예상 밖으로 압승했으며, 당초 목표의석을 훨씬 상회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목표는 107석이었고, 선거일 직전에는 70~80석까지 떨어질 것으로 자체 분석했지만 수도권에서 81석을 차지하면서 승패가 엇갈렸다. 또 대구에서는 김부겸 후보가 31년 만에 보수 텃밭에서 당선됐으며, 부산에서는 18개 지역구 가운데 5곳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다만 호남에서는 국민의당에 완패했다.
국민의당은 호남에서 압승을 거두며 이 지역의 새로운 중심정당이 됐다. 특히 야권의 핵심인 광주 8개 지역구를 싹쓸이했으며, 전남과 전북에서도 각각 8개와 7개 지역구를 차지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특히 정당투표율에서도 더민주를 제쳤다.
정의당도 중심축인 심상정 대표뿐 아니라 노회찬 후보(경남 창원성산)도 당선을 확정지었다. 정의당은 6석을 차지하면서 핵심지지층이 견고함을 확인했다.
한편, 더민주는 다수당에서 맡는다는 관례에 따라 20대 국회에서 국회의장을 배출할 전망이다.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자 윤곽이 드러나는 가운데,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 더불어민주당 선거개표상황실에서 김종인 비대위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가 당선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