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맞는 카시트가 자동차 사고 시 아이 생명 지켜줘"
강인귀 기자
5,495
공유하기
0세부터 7세까지 사용하는 범용 카시트 사이즈가 대부분 실제 아이들의 성장 수준과 체형에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5차, 6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 사업 학술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서 보고한 남아 7세 평균 앉은키 67.3cm, 여아 7세 평균 앉은 키는 66.4cm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탑승 가능 연령 0세~7세용 범용 카시트 대부분은 좌석 높이가 60~63cm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수치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경우 실제 7세 아동이 탑승했을 때, 카시트가 신체 전체를 보호하지 못하여 사고 시에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브라이택스는 신생아부터 5세용 브라이택스 플래티넘SCIT 카시트가 좌석높이 66cm, 좌석폭 34cm로 시중 판매되는 0세~7세용 범용 카시트보다 큰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리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 및 충분한 영양섭취 등으로 아동들의 평균성장률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이 때문에 카시트 구매 시, 아이의 나이가 아닌 몸무게와 체형에 맞는 카시트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이즈에 맞지 않은 카시트를 착용할 경우에는 직접적 사고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또한 신생아를 지나치게 큰 카시트에 앉히면, 프레임과 아이 사이 간격으로 머리 이동량이 증가하며 흔들린 아이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안전벨트가 아이를 올바르게 지탱하지 못하여 충격 발생 시 아이가 튕겨나갈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카시트 브랜드 브라이택스를 공식 수입·유통하고 있는 세피앙의 심경식 그룹장은 "카시트는 한 번 사서 절약하고 오래 쓰는 일반 생활용품이 아닌 상황과 용도에 맞춰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안전용품"이라며 "아이의 신체 성장 수준에 맞는 카시트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그리고 정면, 후면, 측면, 전복 4방향 모두 입체충돌테스트를 거쳤는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지제공=세피앙>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5차, 6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 사업 학술연구용역 최종보고서에서 보고한 남아 7세 평균 앉은키 67.3cm, 여아 7세 평균 앉은 키는 66.4cm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탑승 가능 연령 0세~7세용 범용 카시트 대부분은 좌석 높이가 60~63cm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발표한 수치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경우 실제 7세 아동이 탑승했을 때, 카시트가 신체 전체를 보호하지 못하여 사고 시에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브라이택스는 신생아부터 5세용 브라이택스 플래티넘SCIT 카시트가 좌석높이 66cm, 좌석폭 34cm로 시중 판매되는 0세~7세용 범용 카시트보다 큰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리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 및 충분한 영양섭취 등으로 아동들의 평균성장률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이 때문에 카시트 구매 시, 아이의 나이가 아닌 몸무게와 체형에 맞는 카시트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이즈에 맞지 않은 카시트를 착용할 경우에는 직접적 사고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또한 신생아를 지나치게 큰 카시트에 앉히면, 프레임과 아이 사이 간격으로 머리 이동량이 증가하며 흔들린 아이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안전벨트가 아이를 올바르게 지탱하지 못하여 충격 발생 시 아이가 튕겨나갈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카시트 브랜드 브라이택스를 공식 수입·유통하고 있는 세피앙의 심경식 그룹장은 "카시트는 한 번 사서 절약하고 오래 쓰는 일반 생활용품이 아닌 상황과 용도에 맞춰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안전용품"이라며 "아이의 신체 성장 수준에 맞는 카시트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그리고 정면, 후면, 측면, 전복 4방향 모두 입체충돌테스트를 거쳤는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지제공=세피앙>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