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장애 예방법, '껌 오래 씹지 마세요'
서대웅 기자
4,939
공유하기
턱관절장애가 20대 여성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최근 조사돼 턱관절장애 예방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턱관절장애 예방법에 대해 일상의 사소한 습관을 고치는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해 턱관절장애 진료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관련 환자가 10만명이 늘었다. 또 환자 가운데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았다.
2015년 진료현황에 따르면 20대(9만4000명, 26.9%)가 가장 많았고 ▲10대(6만명, 17.1%) ▲30대(5만6000명, 16.1%)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20대 여성은 5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같은 연령대 남성(3만8000명)에 비해서도 1.4배 많았다. 또 30대와 40대를 비롯해 9세 이하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이 진료를 많이 받았다.
턱관절장애는 턱관절이나 관련 근육, 주위 구조물 등에 이상이 생겨 통증과 기능 장애가 나타난다. 턱관절장애 예방법으로는 ▲긴장 시 이 악물기 ▲한쪽으로만 음식 씹기 ▲손톱 깨물기 ▲혀 내밀기 ▲껌 오래 씹기 등이 있다.
턱관절장애는 특히 성장기에 방치하면 관절 부위 뼈 모양이 변하거나 심한 경우 뼈가 덜 자라 얼굴이 비뚤어지는 안면비대칭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또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현상이 생길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해 턱관절장애 진료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관련 환자가 10만명이 늘었다. 또 환자 가운데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많았다.
2015년 진료현황에 따르면 20대(9만4000명, 26.9%)가 가장 많았고 ▲10대(6만명, 17.1%) ▲30대(5만6000명, 16.1%)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20대 여성은 5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같은 연령대 남성(3만8000명)에 비해서도 1.4배 많았다. 또 30대와 40대를 비롯해 9세 이하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이 진료를 많이 받았다.
턱관절장애는 턱관절이나 관련 근육, 주위 구조물 등에 이상이 생겨 통증과 기능 장애가 나타난다. 턱관절장애 예방법으로는 ▲긴장 시 이 악물기 ▲한쪽으로만 음식 씹기 ▲손톱 깨물기 ▲혀 내밀기 ▲껌 오래 씹기 등이 있다.
턱관절장애는 특히 성장기에 방치하면 관절 부위 뼈 모양이 변하거나 심한 경우 뼈가 덜 자라 얼굴이 비뚤어지는 안면비대칭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또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현상이 생길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