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임대주택 5만가구 더 짓는다
김노향 기자
2,458
공유하기
정부가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임대주택을 내년까지 5만가구 더 짓기로 했다. 행복주택 1만가구, 민간임대주택(뉴스테이) 2만가구를 포함해서다.
신혼부부에게는 10년동안 임차료 상승 없이 살 수 있는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신혼부부 전세세입자와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에게는 최저 이율 1%대 대출을 지원한다. 소득대비 주거비 부담이 30% 이상인 취약계층에는 매입·전세 임대주택의 우선 입주 권한을 준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이러한 내용의 '맞춤형 주거지원을 통한 주거비 경감방안'을 경제관계 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대학생들은 '청년전세임대' 제도를 이용해 대학 졸업 후 2년 안에 입주가 가능해졌다. 정부는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에 창업인이 입주할 수 있는 가칭 창업지원주택도 300가구 공급키로 했다.
또한 집주인이 주택을 개조해 대학생과 독거노인에게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로 빌려주면 저금리 대출을 지원한다. 올해 600가구가 공급된다.
공공임대주택과 복지시설을 함께 짓는 공공실버주택, 공공임대리츠를 활용한 10년 공공건설임대주택의 공급량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서울 금천구, 경기 김포시 고촌읍 일대,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일대에 2차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를 조성한다.
국토부는 공공지원주택 임대비율을 2020년까지 전체주택의 8%로 늘리고 2030년 안에 유럽연합(EU) 수준인 9.4%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신혼부부에게는 10년동안 임차료 상승 없이 살 수 있는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신혼부부 전세세입자와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에게는 최저 이율 1%대 대출을 지원한다. 소득대비 주거비 부담이 30% 이상인 취약계층에는 매입·전세 임대주택의 우선 입주 권한을 준다.
![]() |
사진=머니위크DB |
대학생들은 '청년전세임대' 제도를 이용해 대학 졸업 후 2년 안에 입주가 가능해졌다. 정부는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에 창업인이 입주할 수 있는 가칭 창업지원주택도 300가구 공급키로 했다.
또한 집주인이 주택을 개조해 대학생과 독거노인에게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로 빌려주면 저금리 대출을 지원한다. 올해 600가구가 공급된다.
공공임대주택과 복지시설을 함께 짓는 공공실버주택, 공공임대리츠를 활용한 10년 공공건설임대주택의 공급량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서울 금천구, 경기 김포시 고촌읍 일대,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일대에 2차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를 조성한다.
국토부는 공공지원주택 임대비율을 2020년까지 전체주택의 8%로 늘리고 2030년 안에 유럽연합(EU) 수준인 9.4%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