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밭 진드기. 서울시와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들이 양재천 산책로에서 작은소피참진드기를 채집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서울시 제공)
풀밭 진드기. 서울시와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들이 양재천 산책로에서 작은소피참진드기를 채집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서울시 제공)
야외에서 활동하기 좋은 화창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나들이를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풀밭 진드기 중 하나인 '아나플라즈마증' 감염에 대한 주의가 당부된다.

지난 15일 질병관리본부의 '2015년 아나플라즈마증 실험실 진단 검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아나플라즈마증 의심 환자로 검사가 의뢰된 건수는 모두 201건이다. 감염자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40대가 2명이고 나머지는 모두 60대였다. 주로 농·축산 관련 일에 종사하거나 야외에서 작업하다 진드기에 물려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 


분석 결과, 검사를 의뢰한 의심 환자 중 14명(7.0%)에게서 항체가 양성으로 확인됐다. 이는 과거에 아나플라즈마증에 감염된 이력이 있거나 현재 앓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중 3명에게는 아나플라즈마증뿐만 아니라 쓰쓰가무시증 등의 항체 양성도 나타났다.

아나플라즈마증은 이 균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걸리는 질환이다. 사람을 포함한 개, 소, 양 등에 감염되는데 국내에서는 2014년 처음 환자가 발생했다고 보고됐다. 대부분 39℃ 이상 열이 나거나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평소 질환을 앓고 있거나 노약자, 면역 질환자는 패혈증 등의 합병증이 생길 위험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보고서는 "아나플라즈마증과 쓰쓰가무시증에 대한 중복감염, 교차반응 여부, 과거 감염력 등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검사 및 역학조사가 수행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진드기에 물리면 아나플라즈마증 외에도 쓰쓰가무시증 등,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라임병 등 다양한 감염증을 옮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라고 보고했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을 하거나 농작업을 할 때는 예방수칙을 숙지하고 가능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팔, 긴 바지를 입어 노출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풀밭 위나 풀숲이 우거진 곳에서는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말아야 한다. 야외에서는 돗자리를 펴서 앉고, 한번 사용한 돗자리는 깨끗하게 세척해 말려야 한다.


실내로 돌아온 뒤에는 옷을 털어 세탁하고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씻으면서 꼼꼼히 확인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