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수조사. /자료사진=뉴시스
환경부 전수조사. /자료사진=뉴시스
정부가 방향제, 탈취제 등 생활화학제품에 함유된 살생물질의 사용실태를 파악하는 전수조사에 나섰다.

환경부는 위해성 우려가 높은 생활화학 제품은 연내에, 위해성 우려 제품으로 지정되지 않은 비관리제품과 공산품은 2017년 말까지 조사하겠다고 오늘(24일) 밝혔다. 가습기 살균제 사고 이후 방향제와 탈취제 등 생활화학제품의 안정성 논란이 커지자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소비자 불안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먼저 상반기 중에 15종의 위해우려제품을 제조·수입하는 8000개 기업에 제품에 들어 있는 살생물질 종류를 받아 목록화해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위해성 평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가 정한 15종의 위해우려제품은 방향제, 탈취제, 합성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코팅제, 방청제, 김서림방지제, 접착제, 물체 탈.염색제, 문신용 염료, 소독제, 방부제, 방충제이다. 최근 위해성 문제가 되고 있는 스프레이형 방향제와 탈취제 등은 제조·수입기업과 안전관리 협약을 체결해 위해성 결과를 하반기 중에 공개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대형매장이나 온라인 마켓에서 판매되는 생활화학제품 중 위해우려제품은 아니지만, 소독, 살균, 향균, 방부 기능이 있으면 살생물질 정보를 요구해 위해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항균필터 등 살생물질이 들어갈 우려가 있는 전기용품과 제품의 용기와 포장에 이용되는 살생물질도 이용 실태를 조사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내일(25일) 오전 서울역 LW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LG생활건강 등 생활화학제품 주요 업체와 이마트 등 유통사가 참석한 가운데 '생활화학제품 내 살생물질 전수조사와 안전성 검증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