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체감실업률, '180만명' 수치는 어떻게 나왔나
김선엽 기자
3,524
공유하기
![]() |
청년 체감실업률. /자료사진=뉴시스 |
일할 능력이 있는 청년이 쉬고 있는 '니트족'과 비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택한 청년을 더할 경우 청년 체감실업률은 34.2%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양한 형태의 청년 체감실업자 특성에 따른 고용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오늘(14일) 발표한 '청년 고용보조지표의 현황과 개선방안' 보고서에서 정부가 발표하고 있는 청년 체감실업률 지표를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계청은 현재 공식실업률 외에 국제노동기구(ILO) 권고에 따라 지난해부터 체감실업률 지표인 고용보조지표 1·2·3을 발표한다. 공식실업률은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구직활동을 한 사람을 실업자로 정의한다.
고용보조지표는 이에 더해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와 잠재경제활동인구를 실업률 계산에 적용한다. 이 연구위원은 고용보조지표에 비자발적 비정규직과 니트족도 포함돼야 한다고 했다. 니트족은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 고용보조지표로서 자격을 갖췄다는 설명이다.
비자발적 비정규직과 니트족을 더할 경우 지난해 8월 기준 청년 체감실업자는 179만2000명, 체감실업률은 34.2%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공식실업률 8.0%,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와 잠재경제활동인구를 더한 체감실업률 22.6%보다 높은 수치다.
이 연구위원은 "청년고용 특성상 사실상 실업 상태에 놓인 체감실업자가 다양한 형태로 분포하고 있다"며 "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고용보조지표를 개선해 청년고용정책 수립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