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흥시장 무역금융지원 3배 확대
허주열 기자
2,088
공유하기
정부가 수출 마이너스 행진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신흥시장과 해외프로젝트 등 단기 수출확대 효과가 큰 분야에 무역금융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보험료를 50% 할인해주는 제도도 연말까지 연장 시행하고 1만5000여개 초보기업에 대해서는 무역금융을 무료로 지원할 계획이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6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에서 ‘제3차 민관합동 수출투자 대책회의’를 열고 “8월에 수출 마이너스 행진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며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무역금융 때문에 수출을 못하는 일이 없도록 신흥시장에 대한 무역금융지원을 전년 대비 3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OECD 국가신용분류 5~7등급에 해당하는 고위험 신흥국에 대한 무역금융지원을 상반기 5조7000억원에서 하반기에는 14조3000억원으로 대폭 늘릴 계획이다. 신규 시장개척에 나서는 수출기업의 리스크를 일정 부분 국가가 분담하겠다는 의미다.
또한 신흥국 기존 수입자에게 책정된 지원한도를 50% 일괄적으로 확대하며 신규 거래선에 대해서는 책정가능한도의 2배까지 한도를 특별 우대할 계획이다.
대형 발주처의 메가 프로젝트 수주지원에도 적극 나선다. 정부는 대형 발주처와 사전 금융협력 약정을 체결해 10억달러 이상의 메가 프로젝트를 발주할 경우 무역금융을 지원해 국내 기업의 수주 가능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수출실적 10만달러 이하 수출초보기업에 무료로 무역금융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단기수출 보험료를 50% 할인한다.
6조4000억달러 규모의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위해 18개 해외조달지원센터의 전문인력도 보강하기로 했다. 또한 산업부·중소기업청·조달청 등으로 분산된 해외조달시장 지원서비스를 통합하고 조달전문기업 지원대상을 600개 기업에서 100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종합상사나 유통기업이 중소기업의 수출을 촉진할 수 있도록 무역상사제도도 전면 개편하기로 했다. 주 장관은 “사막에서 난로를 팔고 아프리카에서 스키를 팔았던 무역상사의 열정과 경험으로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을 끌어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6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에서 ‘제3차 민관합동 수출투자 대책회의’를 열고 “8월에 수출 마이너스 행진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며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무역금융 때문에 수출을 못하는 일이 없도록 신흥시장에 대한 무역금융지원을 전년 대비 3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뉴시스 |
이에 따라 정부는 OECD 국가신용분류 5~7등급에 해당하는 고위험 신흥국에 대한 무역금융지원을 상반기 5조7000억원에서 하반기에는 14조3000억원으로 대폭 늘릴 계획이다. 신규 시장개척에 나서는 수출기업의 리스크를 일정 부분 국가가 분담하겠다는 의미다.
또한 신흥국 기존 수입자에게 책정된 지원한도를 50% 일괄적으로 확대하며 신규 거래선에 대해서는 책정가능한도의 2배까지 한도를 특별 우대할 계획이다.
대형 발주처의 메가 프로젝트 수주지원에도 적극 나선다. 정부는 대형 발주처와 사전 금융협력 약정을 체결해 10억달러 이상의 메가 프로젝트를 발주할 경우 무역금융을 지원해 국내 기업의 수주 가능성을 높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수출실적 10만달러 이하 수출초보기업에 무료로 무역금융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단기수출 보험료를 50% 할인한다.
6조4000억달러 규모의 해외조달시장 진출을 위해 18개 해외조달지원센터의 전문인력도 보강하기로 했다. 또한 산업부·중소기업청·조달청 등으로 분산된 해외조달시장 지원서비스를 통합하고 조달전문기업 지원대상을 600개 기업에서 100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종합상사나 유통기업이 중소기업의 수출을 촉진할 수 있도록 무역상사제도도 전면 개편하기로 했다. 주 장관은 “사막에서 난로를 팔고 아프리카에서 스키를 팔았던 무역상사의 열정과 경험으로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을 끌어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