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호 교수, 암치료 로봇 '세계 최초' 개발… 자기장 통해 '종양 중심부' 표적
장영락 기자
13,778
공유하기
![]() |
박석호 교수. /사진=뉴시스 |
박석호 교수 연구팀이 암치료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전남대 박석호 교수연구팀이 고형암
치료를 위한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어제(26일) 밝혔다.
박석호 교수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마이크로 로봇은 고형암 추적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면역세포인 ‘대식세포’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고형암은 고형장기에 발생하는 암으로, 대장암, 유방암, 위암, 간암, 췌장암 등이 해당한다. 대식세포는 면역세포 일종으로 골수·간·폐·장 등 대부분 장기 내에 존재하고 외부 병원체 침입 시 가장 먼저 방어작용에 동원된다.
기존 고형암 치료는 약물 전달체를 혈관에 침투시켜 종양조직을 사멸시키는 방법을 써왔다. 그러나 박석호 교수 연구팀은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약물전달 체계와 면역 세포의 한정적인 치료 방식을 극복했다.
이 마이크로 로봇에는 산화철(Fe3O4)이 포함돼 있어 외부 자기장을 통해 종양 주변부까지 표적이 가능하며, 대식세포를 기반으로 종양 중심부를 표적할 수 있다. 여기에 항암제를 탑재해 더 효과적인 암 치료가 가능한 것이다.
박석호 교수는 “면역세포를 이용한 방식은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기에 향후 자기장 구동기술과 결합돼 더욱 진보한 항암 치료제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지난 6월 27일 실렸다.
![]() |
마이크로 로봇 암치료 개념도. /자료=한국연구재단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