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부산·울산 지역 가스 및 악취발생에 따른 관계기관 안전점검회의가 열렸다. /사진=뉴시스
2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부산·울산 지역 가스 및 악취발생에 따른 관계기관 안전점검회의가 열렸다. /사진=뉴시스

정부가 부산·울산에서 신고된 가스 냄새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자 관계기관·전문가 포함 합동점검단을 꾸려 원인을 찾기로 했다. 지난주 부산과 울산에서 연이어 가스 냄새 신고가 이어졌지만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시민 불안이 커진 데 따른 대책이다.

국민안전처는 오늘(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기상청, 부산시, 울산시, 가스안전공사 등과 긴급안전점검 회의를 열어 부산·울산 가스 냄새 원인규명에 대해 논의했다. 안전처는 이 자리에서 가능한 빨리 합동점검단을 꾸려 가스 냄새 원인이 무엇인지 조사할 계획을 밝혔다.


특히 안전처는 부산과 울산에서 나는 냄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 이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부산은 일관되게 가스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많았지만 울산의 경우 가스냄새 외에도 악취, 역겨운 냄새가 뒤섞였다는 신고도 있었기 때문이다. 안전처는 부산에서 신고된 냄새는 이동차량, 울산에서 신고된 냄새는 공단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 환경부·산업부 주도로 울산지역 공단에 대해서도 조사하기로 했다.

안전처는 가스 냄새가 지진 전조증상이 아니라는 말도 덧붙엿다. 김희겸 재난안전처 실장은 "전문가들과 기상청 관계자들과 얘기했지만 지진과 관련이 없다고 했다. 근거 없는 소문이 확산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지난 21일 오후 부산시에서 가스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200여건 접수된 데 이어 23일 오후에는 울산 남구지역에서도 가스 냄새 신고가 20여건 접수돼 시민들 사이에서 지진 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