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SW) 교육’이 의무화 된다.

이와 관련해 초등 학부모 교육정보 커뮤니티 ‘맘앤톡’이, 지난 6월 1일부터 30일까지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회원 688명에게 ‘소프트웨어 교육 의무화’를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61%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해 ‘잘 모른다’고 답했다.

일명 ‘코딩 교육’으로도 불리는 소프트웨어 교육은 컴퓨터와 스마트기기 등의 단순 활용에서 벗어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을 통해 컴퓨터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이다. 이는 새 교육과정의 가장 큰 목표인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 중 하나이기도 하다.


◆소프트웨어 교육 ‘필요하다’ 62% ‘시킨 적 있다’ 40%
소프트웨어 교육 의무화, 초등 학부모
그런데 다수의 학부모가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으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62%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한 실제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킨 경험 유무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0%가 ‘시킨 적이 있다’고 답해, 아직 의무화되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학부모가 소프트웨어 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부모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의 긍정적인 점으로는 응답자의 38%가 ‘미래 사회에 필요한 경쟁력 강화’를 꼽았다. 이어 ‘컴퓨터 활용 능력 강화’ 30%, ‘종합적 사고력 발달’ 15%, ‘창의력 발달’ 11%, ‘교과 연계 학습 가능’ 3%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의무화에 따른 우려도 있었다. 응답자의 31%는 수업이 늘어나 ‘자녀의 학업 부담’이 가중될 것을 우려했고, ‘사교육 부담 가중’ 30%, ‘전문 교사 부족으로 수업 부실’ 14%, ‘교육과정 및 교육 프로그램 부실’ 13%, 학교의 PC 부족이나 노후화에 따른 ‘인프라 부족’ 10% 등이 우려된다고 답했다.

◆소프트웨어 교육 적정 시기 ‘초등 5~6학년부터’ 효과적인 연계 과목은 ‘수학’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는 적정 시기는 ‘초등 5~6학년’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7%로 가장 많았고, ‘초등 3~4학년’ 28%, ‘중학교’ 16%, ‘초등 1~2학년’ 12%, ‘고등학교’ 3%가 뒤를 이었다.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계한 융합교육에 가장 필요한 과목은 무엇일까. ‘수학’과 ‘과학’이 전체 응답의 68%를 차지한 가운데 38%는 ‘수학’을, 30%는 ‘과학’을 선택했다. 상대적으로 사회(14%)와 예체능계(11%) 과목들과의 연계성은 낮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수현 맘앤톡 운영자는 “일부 학부모들은 학교 교육에 대비하기 위해 미리 자녀에게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키고 있다”며 “무조건 선행학습을 시키거나 전문기관에 의존하기보다 아이의 관심과 의사가 먼저 존중돼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미지제공=비상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