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언급된 일부분이 역사적 사실과 달라 논란이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시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정부 주최로 열린 제71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해 “안중근 의사께서는 차디찬 하얼빈의 감옥에서 ‘천국에 가서도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라는 유언을 남기셨다”고 말했다. 이는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운 애국 열사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나온 언급이다.


논란이 된 부분은 안 의사가 유언을 남긴 장소 부분이다.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당시 러시아 영토였던 하얼빈역에서 일본의 초대 조선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권총으로 저격했다. 현장에서 체포된 안 의사는 중국의 뤼순 감옥으로 옮겨져 그곳에서 사형을 당했다. 따라서 안 의사가 유언을 남긴 곳도 당연히 뤼순 감옥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뉴스1에 따르면 안중근의사 기념관 측은 이날 “하얼빈은 러시아 영토여서 당시 일본의 수감시설이 없었다”면서 박 대통령이 이날 경축사에서 인용한 유언은 “뤼순 감옥에서 사형 집행 직전에 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박 대통령은 2013년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역사학계에서 위서로 평가하는 ‘환단고기’의 한 구절을 언급해 논란이 되기도 했었다. 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 인용 논란이 처음은 아닌 만큼 단순 실수로 보이지만 대통령의 연설 및 메시지를 담당하는 참모진의 역량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청와대는 급히 진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경축식 뒤 해당 내용을 하얼빈 감옥에서 뤼순 감옥으로 정정하며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