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금융/ 사진=머니S DB
P2P금융/ 사진=머니S DB
초저금리시대가 장기화되면서 P2P(Peer to Peer)금융에 관심을 보이는 젊은층이 늘고 있다. 은행 예·적금금리가 1%대에 불과한 시점에서 연 10%에 달하는 고수익을 거둘 수 있어서다. 적은 돈을 투자해야 하는 젊은층으로선 금리가 높은 새로운 투자상품이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P2P대출은 크라우드펀딩의 일종이다. 대출자의 신용등급에 따라 대출이자가 정해지면 투자자들이 십시일반 자금을 모아 대출해주고 시장금리보다 높은 대출이자를 수익으로 받는 구조다. 현행 자본시장법에서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은 규제대상이지만 P2P대출 등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은 규제하지 않는다. 법 규제를 받지 않아 투자자 보호에 취약한 만큼 P2P대출은 중개업체, 부실채권 요소 등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1900억원 시장에 꽂힌 젊은층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7월 말 P2P업계의 총 누적대출액이 1900억원을 넘어섰다. 2013년 50억원에 불과하던 시장이 40배 가까이 커진 것이다. 같은 기간 P2P대출 신청 건수가 총 29건, P2P대출상품에 돈을 빌려준 투자자 수는 957명에 달했다.


특히 20~30대 젊은층의 P2P투자가 활발해졌다. 대형 P2P업체인 8퍼센트가 올 상반기 회원의 투자성향을 분석한 결과 투자자의 평균 나이는 34.3세였다. 20대 회원이 38%, 30대는 45%로 전체 회원의 83%에 달했다. 부동산 P2P업체인 테라펀딩도 젊은 층의 투자가 많았다. 20대 17.63%, 30대 44.84%, 40대 25.82%로 20~40대가 90%에 달했다.

문제는 나날이 증가하는 대출규모만큼 P2P업체의 부실채권도 동시에 늘어나는 점이다. P2P업체들은 각 업체당 부실채권비율을 공개하지 않지만 1세대로 불리는 머니옥션의 부실채권비율이 2007년 설립 당시 10%인 것을 감안하면 신생 P2P업체의 부실채권 잠재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더욱이 젊은층은 P2P투자금액도 높아 대규모 투자손실을 입을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주혜원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국내 P2P금융시장이 아직 초기 단계임에도 업체와 대출규모가 커지면서 투자자의 잠재적 리스크도 확대되는 추세”라며 “선제적 가이드라인을 논의하고 금융기관 간 협업을 추진하는 등 P2P업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리스크 낮고 운영자 안정성 높아

금융전문가들은 P2P투자의 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분산투자를 추천한다. 최대한 많은 채권에 균등한 금액을 분산투자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또 P2P상품 구조를 제대로 알고 접근해야 한다. 차주가 빚을 조기상환할 경우 P2P업체의 부실률이 감소할 수 있으나 투자자가 받을 수 있는 이자(수익률)는 예상보다 떨어질 수 있다.


시중은행이 P2P업체와 손을 잡은 형태의 연계형 P2P금융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 대출 및 연체이력 등 모든 대출관련 기록이 금융권에 공유되기 때문에 P2P투자에 따른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또 부실채권이 늘어나면 파산하는 P2P업체와 달리 은행이 P2P대출을 운영하기 때문에 투자의 안정성도 동시에 높아진다.

지난 6월 전북은행과 피플펀드가 손을 잡은 이후 NH농협은행과 써티컷이 카드론 이자를 아낄 수 있는 ‘NH써티컷론’ 출시를 준비 중이다. IBK기업은행은 P2P금융 플랫폼 펀다와 함께 예탁금 담보부대출을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은행과 P2P업체가 제휴해 내놓은 P2P상품은 기존 P2P업체의 수익구조와 다르기 때문에 안정적인 반면 수익성은 낮을 가능성이 있다”며 “P2P상품의 약관 등을 검토하는 단계로 하반기에는 연계형 P2P상품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