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호선 가양~신논현 ‘셔틀형 급행열차’ 31일부터 운행
김창성 기자
5,774
공유하기
![]() |
서울시가 31일부터 가양~신논현 구간에 국내 처음으로 ‘셔틀형 급행열차’ 시스템을 도입한다. /사진=서울시 |
이번 ‘셔틀형 급행열차’ 시스템에 도입되는 신규차량은 16량(4편성)이다. 서울시는 4개월간의 신규차량 예비주행과 시운전을 마치고 31일부터 본선에 투입해 본격적인 운행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현재 지하철 9호선은 144량(36편성)이 운행되고 있으며 이번 증차를 통해 총 160량(40편성)으로 늘게 된다.
서울시는 이번에 증차되는 16량으로 9호선 전체 혼잡도를 200% 이하로 낮추기 위해 다양한 대안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혼잡이 극심한 출근시간대에 셔틀형 급행열차 운행을 대안으로 채택해 시행하게 됐다.
특히 서울시는 승객이 집중되는 출·퇴근시간대에 열차가 집중 투입될 수 있도록 새로운 운행 계획을 수립했다.
먼저 출근시간대에는 혼잡이 가장 심한 ‘가양↔신논현 구간’만 운행하는 셔틀형 급행열차를 투입하고 퇴근시간대에는 일반·급행을 병행 운행해 혼잡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출근시간대 셔틀형 급행 8회(상·하행 각 4회) ▲퇴근시간대 급행 4회(상·하행 각 2회), 일반 6회(상·하행 각 3회)로 운행 횟수가 늘어나 지금보다 하루 18회 증회 운행돼 약 2만명 (약 180% 이용기준)을 더 실어 나르는 효과를 보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증회운행으로 출근시간대(07:00~09:00) 운행시격은 현행 3.3~4.5분에서 2.7~4분으로 줄어들며 퇴근시간대(18:00~20:00) 운행시격은 4분에서 3.5분으로 줄어든다.
특히 셔틀형 급행열차 운행으로 운행횟수가 4회 증회되면 현재 혼잡이 가장 심한 ‘가양~염창 구간’ 혼잡도가 238%→ 198%(1시간 평균)까지 완화되며 1편성 당 탑승객이 약 1442명에서 1201명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열차운행 계획이 실행될 경우 현 이용객수의 변화가 없다면 9호선의 혼잡도는 200% 이하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셔틀형 급행열차의 출발시간은 가양역 기준 7시45분, 7시53분, 8시1분 8시9분이며 가양~신논현 구간보다 더 이동하려면 안내방송에 따라 가양역 또는 신논현역에서 하차 후 같은 플랫폼에서 후속열차로 갈아타면 된다.
또한 서울시는 10월에 도입예정인 16량에 대해서는 혼잡완화 효과를 조기에 체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6량 열차의 투입을 내년 중으로 앞당기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위해 본선 투입이 아닌 ‘증량(현재 4량→ 6량)’ 작업에 투입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10월부터 단계적으로 현 4량 열차를 6량 열차로 바꾸고 6량 열차의 영업 운행을 위해 필요한 절차(신호 테스트, 예비운전 등)를 서둘러 추진해 내년 중 6량 열차가 운행될 수 있도록 진행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2017년에 추가 반입되는 38량 또한 기존 4량 열차를 6량 열차로 증량하는데 투입할 계획이다. 증량 작업을 통해 현재 4량 16개 편성 운행을 6량 17개 편성으로 변경하면 작업이 마무리되는 2017년 하반기부터는 9호선 혼잡도가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출근시간대 9호선 배차간격은 이미 최소에 가깝게 운행되고 있으므로 열차 양만 늘리는 것 보다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혼잡 완화 방안을 마련했다”며 “시민들이 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 속에서 9호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된 증차와 증량작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