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자구안 마련 난항… 법정관리 가나
최윤신 기자
1,676
공유하기
![]() |
/자료사진=뉴시스 |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음달 4일 조건부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이 종료되는 가운데 자구안 제출 가능성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19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채권단은 한진해운이 이번 주 중 자금확보방안 등을 담은 자구안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율협약 종료시한인 다음달 4일까지 용선료 협상과 사채권자 집회 등을 마무리하기 위해 채권단은 다음주 초까지 한진해운의 자구안 제출을 기다릴 것으로 보인다.
유동성 확보 방안은 한진해운 자구안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다. 한진해운은 채권단이 요구하고 있는 용선료 인하, 선박금융 상환유예, 사채권자 채무조정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모든 게 무의미하다.
채권단은 한진해운이 내년까지 회사를 운영하기 위해서 약 7000억원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채권단은 추가적인 자금지원은 없다는 원칙아래 한진그룹의 자체지원이나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사재출연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진그룹 및 조 회장 측에서는 4000억원 이상은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미 1조원 가까이 지원한 상황에서 무리한 지원이 계속되면 그룹 전체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해운업계에서는 해운업의 특수성을 고려했을 때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즉시 해운동맹에서 퇴출되고 화주들의 계약 해지 및 선박 압류가 진행돼 파산수순에 돌입할 수 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일각에서는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가게 된 후 법원에 의해 회사가 회생절차를 밟게 되면 부실채권이 정리돼 오히려 현대상선과의 합병에 유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