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상위 10% 소득집중도 세계 2위… IMF 이후 ‘소득불평등’ 확산
서대웅 기자
4,568
공유하기
![]() |
/사진=이미지투데이 |
국회입법조사처가 세계 상위 소득 데이터베이스(The World Top Income Database·WTID)와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분석해 4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우리나라의 상위 10% 소득집중도는 44.9%로 나타났다.
소득집중도는 소득 상위권 구간에 속한 사람들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산출해 경제 내 소득불평등 정도를 판단하는 지표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국가 중 1위, 미국(47.8%) 다음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주요국의 상위 10% 소득집중도를 보면 미국과 한국, 싱가포르(41.9%), 일본(40.5%) 등이 40%를 넘었다. 영국은 39.1%, 프랑스는 32.3%, 뉴질랜드는 31.8%, 호주는 31%였으며 말레이시아는 22.3%에 불과했다.
우리나라의 소득집중도가 높게 나온 데 대해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와 2000년대 후반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빠른 속도로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다. 외환위기 이전인 1995년 우리나라의 상위 10%의 소득집중도는 29.2%였다. 그러나 이후 2000년 35.8%, 2008년 43.4%에 이어 2012년 44.9%까지 올랐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