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화재, 5년간 118명 사상… 명절음식 준비 때 '소화기 필수'
장영락 기자
2,170
공유하기
![]() |
추석연휴 화재.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추석연휴 화재를 대비해 정부가 그간 추석연휴 화재 사례와 안전대비 방법을 안내했다. 국민안전처 오늘(8일) 추석연휴 기간 국민들이 화재 없는 안전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화재 사고를 분석해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1~2015년) 추석 연휴 기간 화재가 2241건이나 발생해 118명(사망 10, 부상 108)의 인명피해와 161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화재가 발생한 장소는 주거시설 673건(30%), 자동차 255건(11%), 산업시설 220건(10%) 순이었다.
화재 원인은 부주의 1140건(51%), 전기 요인 468건(21%), 기계 요인 157건(7%) 순으로 나타났다. 장소별로 살펴보면, 주거시설(673건)의 경우 주방에서 248건의 화재가 발생했고 이중 추석연휴 명절 음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193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자동차(255건)는 추석 연휴 동안에 차량을 운행하면서 전기적 요인으로 70건과 기계적 요인으로 69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산업시설(220건)은 부주의로 69건과 전기적 요인으로 57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추석연휴 화재 예방대책으로는 사람이 음식물을 조리할 때 자리를 비우지 말고 주변에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식용유를 사용하다 불이 붙으면 가스를 차단한 후 온도를 낮추고 튀김용기보다 큰 뚜껑을 사용해 용기를 덮으면 불이 꺼진다. 조리시에 큰 뚜껑을 미리 준비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불이 옮겨 붙었을 경우에는 진화해야 하므로 소화기를 반드시 비치해두어야 한다.
자동차의 운행 전에 냉각수, 엔진오일 등 점검을 통해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엔진과열과 과부하 방지를 위해서 장시간 운행을 피해 중간 중간에 차량의 시동을 끄고 엔진을 냉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산업시설에서는 장기간 기계 가동을 멈출 경우에 전기설비나 기계설비의 주전원을 반드시 차단하고 그 주변에 화원을 방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